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경의선 부지는 누구의 것인가

등록 2021-06-18 04:59수정 2021-06-18 09:45

시민·연구자·활동가 참여한 경의선 부지 ‘커먼즈’의 기록
점거운동에서 출발해 자생적·자율적 대안 도시 운동으로

경의선 공유지에서 국내 최초의 ‘커먼즈’(Commons) 실험은 자연스럽게 진행됐다. 노점상, 문화예술인, 시민 들이 함께했고, 거리로 내몰린 빈민과 가난한 상인, 활동가 들과 연구자, 문화예술인 들이 찾아왔다. 이들이 기획하고 운영하는 벼룩시장, 문화공연, 세미나, 독서토론회, 어린이놀이터, 체육대회 등으로 공터가 1년 내내 즐거운 놀이터가 되어갔다. 빨간소금 제공
경의선 공유지에서 국내 최초의 ‘커먼즈’(Commons) 실험은 자연스럽게 진행됐다. 노점상, 문화예술인, 시민 들이 함께했고, 거리로 내몰린 빈민과 가난한 상인, 활동가 들과 연구자, 문화예술인 들이 찾아왔다. 이들이 기획하고 운영하는 벼룩시장, 문화공연, 세미나, 독서토론회, 어린이놀이터, 체육대회 등으로 공터가 1년 내내 즐거운 놀이터가 되어갔다. 빨간소금 제공

   

커먼즈의 도전: 경의선 공유지 운동의 탄생, 전환, 상상
박배균·이승원·김상철·정기황 외 지음,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기획/빨간소금·2만원

지상에 있던 경의선 철도가 지하로 내려가면서 공터가 생겼다. 옛 철길을 따라 좁고 긴 길만 난 것이 아니다. 어떤 곳은 고층빌딩 몇 채쯤 너끈히 들어설 만큼 넓었다. 서울 공덕역 1번 출구 옆 경의선 철도부지가 그랬다. 고급 고층아파트로 둘러싸인 이 너른 공터를 “서울의 26번째 자치구”로 명명하며 4년여 간 점거한 이들이 있다.

이들이 공터를 점거한 2015년부터 2020년 5월까지, 경의선 공유지에는 별별 사람이 모여 북적거렸다. 처음엔 벼룩시장 노점상들, 거리 전시와 공연을 하는 문화예술인들, 근방을 지나던 호기심 많은 시민들이 함께했다. 그러다 살던 곳이 철거되어 거리로 내몰린 빈민들, 장사할 곳을 잃은 가난한 상인들이 찾아왔다. 홍대와 명동, 이태원에서 철거와 젠트리피케이션에 저항했던 문화예술인과 경의선 철도 부지의 대안적 활용을 고민해온 활동가들, 새로운 도시운동의 현장을 기록하고 연구하려는 연구자들도 합류했다. 이들이 기획하고 운영하는 벼룩시장, 문화공연, 세미나, 독서토론회, 어린이놀이터, 체육대회 등으로 공터가 1년 내내 즐거운 놀이터가 되자 점점 더 많은 시민들이 모여들었다. 시민이 공간과 자원, 지식, 이익, 가치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국내 최초의 본격 ‘커먼즈’(Commons) 실험이 이처럼 자연스럽게 진행됐다.

누군가는 물었다. “경의선 부지는 엄연한 국유지다, 왜 나라 땅을 당신들 마음대로 하느냐?” 경의선 공유지 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되묻는다. “국유지는 누구의 것인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에서, 국유지는 국민의 것이다. 또한 국유재산법(제3조1항)에는 국유지를 “국가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경의선 부지는 여러 대기업이 쇼핑몰과 호텔로 개발해 사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계획이 일찌감치 나와 있었다. 실은 경의선 지하화 사업부터가 “마포지역에 기반을 둔 토건 엘리트 집단 주도로” 추진됐고, 이후 “지상부 공간의 개발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의선 공원화와 역세권 고층 상업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주변 아파트 시세와 지가, 임대료가 급상승했음은 물론이다. 이제 다시 물어볼 차례다. “경의선 부지는 누구의 이익에 부합해 사용되고 있는가?”

<커먼즈의 도전>은 경의선 부지에서 4년여간 벌어진 국내 최초의 본격 ‘커먼즈 운동’을 기록한 책이다. 1부 ‘탄생’에선 경의선 공유지 운동이 탄생한 사회정치적 배경을 다룬다. 1960년대 이후 한국의 도시는 “국가의 지원과 혜택이 집중되는 공간선택적 도시화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고, 대표적인 결과물이 신도시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다. 그런데 1990년대 이후에는 국가가 아니라 “투기적 금융/부동산 자본, 투기적 욕망에 사로잡힌 도시 중산층, 이들과 결탁한 정치인과 지방 엘리트 등이 결합한 토건 지향 성장연합이 도시 공간개발을 주도하는” 형국으로 바뀌었다. 경의선 공유지 운동은 이런 흐름에 대한 저항과 대안 모색의 움직임 속에 탄생했다.

경의선 공유지 운동은 또한 2010년대부터 활발해진 젠트리피케이션 반대 운동과 마을만들기나 사회적기업과 같은 대안적 공동체 운동의 연장선에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점거운동에서 출발해 자생적이고 자율적인 대안 도시 운동으로 전환한 경의선 공유지 운동의 역동적인 변화의 양상이 2부 ‘전환’에서 펼쳐진다. 3부 ‘상상’은 경의선 공유지 운동으로 촉발된 한국 커먼즈 운동의 역량과 가능성에 대한 활동가와 연구자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았다.

이미경 자유기고가 nanazaraza@gmail.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하이브, 민희진 오늘 고발…“‘뉴진스 계약 해지’ ‘빈껍데기 만들자’ 모의” 1.

하이브, 민희진 오늘 고발…“‘뉴진스 계약 해지’ ‘빈껍데기 만들자’ 모의”

‘범죄도시4’ 개봉 첫날 관객 82만…역대 오프닝 기록 4위 2.

‘범죄도시4’ 개봉 첫날 관객 82만…역대 오프닝 기록 4위

방시혁에 맞선 ‘민희진의 난’ 돌이킬 수 없다…뉴진스 앞날은? 3.

방시혁에 맞선 ‘민희진의 난’ 돌이킬 수 없다…뉴진스 앞날은?

동물이 사라진 세상, 인간이 고기가 돼 식탁에 [책&생각] 4.

동물이 사라진 세상, 인간이 고기가 돼 식탁에 [책&생각]

[인터뷰] 민희진 “난 저작권과 무관한 제작자…공식 깨고 싶은 사람” 5.

[인터뷰] 민희진 “난 저작권과 무관한 제작자…공식 깨고 싶은 사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