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4 조사, 전용 60㎡ 이하 45.1%
2000년에 견줘 20%포인트가량 증가
1~2인 가구 증가, 집값 상승에 소형화 가속
2000년에 견줘 20%포인트가량 증가
1~2인 가구 증가, 집값 상승에 소형화 가속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공급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대형 아파트 비중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를 보면, 올해 8월 현재까지 서울지역에서 분양된 새 아파트 물량은 총 1만5980가구로 이 가운데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비중이 역대 최고치인 45.1%(7205가구)를 기록했다. 이는 부동산114가 분양물량 조사를 시작한 2000년 60㎡ 이하 아파트의 비중이 26.1%였던 것에 비하면 20%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전용 60~85㎡의 경우 올해 분양물량이 전체의 46.4%(7422가구)로 2000년(42.3%)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비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는 전체 물량의 8.5%인 1353가구가 분양되는 데 그쳤다. 지난 2000년은 중대형 아파트 비중이 31.6%로, 소형(26.1%)보다도 높았던 것을 고려하면 최근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이처럼 소형 아파트 공급 비중이 높아진 것은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전월세난이 심각해지고 있는 데 따른 영향이 크다. 또 발코니 확장 허용, 신평면 개발로 소형 아파트의 실사용 면적이 증가한 것도 소형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팀 과장은 “서울의 경우 신규 분양물량의 90% 이상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공급되는데 최근 주택형을 결정하는 조합원들 사이에서 갈수록 ‘소형 선호, 중대형 기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