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가 과격 무장대원들의 교화를 통해 테러를 예방하는 데 큰 성과를 얻고 있다고 <비비시>(BBC) 방송이 31일 보도했다.
사우디 정부는 교도소에서 무장테러 전력이 있거나, 무장테러 유혹에 넘어갈 가능성이 높은 청년들을 집중 교육하고 있다. 성직자와 심리학자 등이 강의에 나서, 이슬람 ‘지하드’(성전)를 내세워 테러행위를 자행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설득하는 데 주력한다. 이라크에서 무장테러를 저지르는 것은 1980년대 아프가니스탄을 침입한 소련에 맞서 싸운 ‘지하드’와 다르다는 것이다. 국가의 승인이 있을 때만 과격한 ‘지하드’가 용납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사우디는 이들의 교화를 위해 별도의 교도소를 짓고 있다. 교화 과정을 마치는 젊은이들에겐 직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차를 사고 아내를 구하는 데까지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사우디가 교화에 공을 들이는 까닭은 9·11 테러범과 이라크에서 활동하는 과격 무장대원 가운데 사우디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비비시>는 교육을 마친 이들의 재검거율이 5~7% 수준이라며, 교화가 성공적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이런 재활교육은 테러활동을 부추기는 ‘특혜’라는 비판도 나온다. 교육이수라는 이름으로 테러범들이 조기석방돼 다시 테러에 뛰어드는 일이 더 쉬워진다는 것이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