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신원미상 천안문 ‘탱크맨’, 32주년 맞아 재소환

등록 2021-06-07 15:25수정 2021-06-08 02:14

[후(who)스토리]
천안문 시위 32년 맞은 지난 4일
MS 검색엔진 ‘탱크맨’ 검색 안돼
“단순 실수” 주장…5일부터 검색
아직까지 탱크맨 신원 안 밝혀져
당시 사진작가 “4명한테 끌려가”
1989년 6월 중국 톈안먼 민주화운동의 상징이 된 탱크맨. AP 연합뉴스
1989년 6월 중국 톈안먼 민주화운동의 상징이 된 탱크맨. AP 연합뉴스
1989년 6월5일 중국 베이징 천안문(톈안먼) 광장 앞 큰 길에서 시위 진압에 나선 인민해방군의 탱크를 막아섰던 이른바 ‘탱크맨’이 천안문 민주화 운동 유혈진압 32주년을 맞아 재소환되고 있다. 여전히 신원 미상인 탱크맨은 중국 현대사의 가장 쓰라린 사건 중 하나인 천안문 민주화 시위 진압 사건의 상징적 존재이다.

<시엔엔>(CNN)과 <가디언> 등은 6일 중국 천안문 유혈진압 32주년을 맞은 4일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Bing)에서 탱크맨(tankman)의 사진이나 영상 등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애초부터 천안문 사건 관련 검색이 제한된 중국은 물론이고, 미국과 독일, 싱가포르,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도 탱크맨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마이크로소프트 대변인은 “사진 등이 실수로 오프라인으로 전환됐다. 인간의 실수였다”고 말했다. 탱크맨 사진은 하루 뒤인 5일부터는 다시 검색에 나타났다.

5일 동유럽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도 탱크맨이 등장했다. 중국과 헝가리 정부가 지난 4월 합의한 상하이 푸단대학의 헝가리 분교 건립에 반대하는 시위에 부다페스트 시장 게르겔리 카라소니가 탱크맨 사진을 들고 나온 것이다. 세계 100위권 안에 드는 중국 국립대학을 유치하는 것이지만, 헝가리 시민들은 거대한 중국 대학의 분교를 수도 부다페스트에 세우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건립 비용이 2조원이나 들고, 이 중 1조7천억원을 중국에서 차관 형태로 받는 것도 반대를 키운다. 카라소니 시장은 이날 “우리는 5천억 포린트(약 16억달러)나 되는 시민들의 세금을 중국의 엘리트 대학 캠퍼스에 퍼붓고 싶지 않다”고 주장했다.

탱크맨은 1989년 6월 천안문 사태 당시 보여준 용감한 행동으로 중국 현대사의 상징 중 하나가 됐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그해 4월 시작된 중국 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를, 50일 만인 6월4일 새벽 무력으로 진압하기 시작했다. 이튿날인 5일 중국제 59식 탱크 10여대가 줄지어 천안문 광장 앞 큰 길로 진입하자, 검은 바지에 흰 셔츠를 입은 남성이 가로막는다. 돌발 사태에 잠시 머뭇거리던 탱크가 비켜가려 방향을 틀자 남성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다시 가로막는다. 그러기를 몇 차례, 남성은 탱크 위로 뛰어올라 군인과 몇 마디 얘기를 나누기도 한다. 남성과 탱크 부대의 짧은 승강이는 멀찍이 떨어져 사진을 찍던 외신 기자들의 카메라에 담겼고, 전 세계에 영상과 사진으로 퍼져나갔다. 세상은 이 남성을 ‘탱크맨’이라 부르고 천안문 사건의 상징으로 기억하고 있다.

탱크맨의 신원은 사건 30여년이 넘도록 미궁이다. 중국 활동가와 외국 언론들이 그를 찾아나섰지만 아직 공식 확인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분명한 것은 그가 당시 광장에서 탱크 부대에 의해 사망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사건 당시 직접 사진을 찍었던 <에이피>(AP) 통신의 미국인 사진기자 제프 와이드너는 “그가 4명에 의해 끌려갔으며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지 못한다”고 2014년 독일 <도이체 벨레>에 말했다. 와이드너는 “그(탱크맨)는 탱크가 오는 것을 보았고, 자신에 대해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며 “가족이나 친척이 군에 의해 죽었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탱크맨에 대해 수감설, 사망설 등 여러 추측이 돌고 있다. 2017년에는 미국에서 중국 인권운동을 하는 ‘공민역량’이 “탱크맨은 현재 중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자신이 외국에도 널리 알려진 것을 모르고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갑질 의혹 주중대사 잠적?…월례 브리핑 일방 취소 1.

갑질 의혹 주중대사 잠적?…월례 브리핑 일방 취소

호주 공영방송 “이종섭 한 달도 안 돼 사의…국힘, 총선 필사적” 2.

호주 공영방송 “이종섭 한 달도 안 돼 사의…국힘, 총선 필사적”

[단독] 갑질 신고당한 ‘윤 동창’ 주중대사…“자녀 거론하며 막말” 3.

[단독] 갑질 신고당한 ‘윤 동창’ 주중대사…“자녀 거론하며 막말”

500명 사는 섬에서 초콜릿 720개를 파는 법 4.

500명 사는 섬에서 초콜릿 720개를 파는 법

일본 ‘붉은누룩’ 고바야시제약 공개사과…사망 5명으로 늘어 5.

일본 ‘붉은누룩’ 고바야시제약 공개사과…사망 5명으로 늘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