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판문점 채널은 밤에 불통
야간 위급상황에 속수무책
7백여 체류자 안전위해 복원해야”
야간 위급상황에 속수무책
7백여 체류자 안전위해 복원해야”
정부는 3일 개성공단이 재가동되려면 북한이 지난 3월 일방적으로 끊은 서해 군 통신선부터 복원해야 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전날 열린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에서 공단 재가동 날짜를 합의하지 못한 배경과 관련해 “북한이 일방적으로 끊어버린 서해 군 통신선이 복원되지 않으면 개성공단 출입이 크게 제한받기 때문에 응급환자 발생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며 이렇게 밝혔다. 서해 군 통신선은 애초 남북이 개성공단 출입자 명단을 주고받을 때 활용했던 것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던 3월 말 북한이 일방적으로 차단했다. 이 때문에 현재 개성공단 출입자 명단 등의 교환은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군 통신선은 24시간 가동되지만 판문점 채널은 밤에 작동하지 않는다”며 “공단이 가동되면 남쪽 인원이 700~800명 현지에 체류하게 되는데 이 많은 인원이 당장 귀환해야 하는 야간 위급상황에는 속수무책이 된다”고 말했다. 북한도 전날 남북공동위원회 1차회의에서 군 통신선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공단 운영에 필수적인 기반시설의 정상화를 위해서도 군 통신선 복구가 선결과제라고 보고 있다. 공단의 기반시설에 대한 기본적인 점검은 마무리된 상태이다. 한국전력 등 관리 인력은 지난달 17일부터 방북해 전력망과 급수시설 등을 돌아보고 점검과 보수를 실시해왔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실제 가동을 위해서는 관리 인력이 공단에 상주해야 한다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다. 이 당국자는 “현재 2만㎾ 수준인 전력 공급을 10만㎾로 끌어올리고, 정수시설과 폐수처리 시설 등을 가동하려면 남쪽의 관리 인력이 며칠씩 체류하면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며 “지금처럼 군 통신선이 단절돼 야간 위급 상황에 대처를 할 수 없으면 이들의 공단 체류는 어렵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