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5일 핵정상회의 기간에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3자 정상회담을 열자는 미국 쪽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하고, 정부 차원의 실무적인 검토를 시작했다. 3자 회담이 성사되면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한-일 정상이 만나게 된다.
청와대는 19일 오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장수 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열어, 미국이 제안한 네덜란드 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 때 한-미-일 3자 회담 개최 여부와 참석할 경우의 회담 의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24~25일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3자 정상이 만나는 방안을 미국, 일본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과거사에 대한 진정성 있는 일본의 조처가 없는 상황에서 한-일 양자 정상회담을 하기는 어렵지만, 한-미-일 3자 정상회담은 성격이 좀 다르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미국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강력하게 희망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으로서는 현실적으로 미국 쪽의 요구를 거절하기 힘들다. 정부의 이익에 맞는 건설적인 대화가 이뤄지는 방향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 개최를 수용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은 한-일 관계 개선을 강력히 희망하는 미국의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3자 정상회담이 열리면 북핵 문제 등 안보 현안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외교 소식통은 “한-미-일 정상들이 한자리에서 만나 이야기하는데, 북한 핵 문제를 얘기하는 게 맞지 않느냐. 한-미-일 만남에서 중국에 대한 메시지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석진환 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