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번스 미 국무부 부장관이 개성공단 잔류인원을 전원 귀환시키기로 한 우리 정부의 조처에 “전적인 이해와 지지를 표명했다”고 외교부가 28일 밝혔다. 새달 7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준비 등을 위해 27일 방한한 번스 부장관은 윤병세 외교장관에게서 개성공단 사태에 대해 우리 정부가 취한 조처에 대한 설명을...
‘신뢰 프로세스’ 강조하더니개성공단 공세적 제의 ‘돌변’ “호흡 조절하면서 생각할 것”정부당국자, 계획 부재 드러내 북 반응따라 즉흥적 강경 대처“대화제의 시점 부적절” 지적도 한반도 위기가 결국 개성공단을 삼키려 하고 있다. 정부는 개성공단을 살리기 위해 전격적인 대북 대화를 두 차례 제의하는 등 적극...
2014년 3월로 만료될 예정이던 한-미 원자력 협정의 시효가 2년 연장됐다. 외교부는 24일 새로운 한-미 원자력 협정에 △사용 후 핵연료의 효과적인 관리(재처리) △원전 연료의 안정적 공급 확보(우라늄 농축) △원전 수출 경쟁력 제고 등을 담보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기 위해 지난 16~18일 미국과 6차 협상을 벌였...
외교부가 24일 기존의 한-미 원자력협정 만료 시한을 2년 유예하는 내용을 담은 한-미 협상 결과를 발표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23일 “그동안 미국과 해온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 결과를 내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 협상 대표단은 지난 16일(미국시각)부터 사흘간 미국 워싱턴에서 미국 쪽과 내년 3월 만료되...
새 정부 들어 조심스럽게 복원을 모색하던 한-일 관계가 다시 암초에 걸렸다. 일본 각료들이 잇따라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자, 정부는 22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이번 주말 일본 방문 일정을 취소하는 등 강력 항의했다. 당분간 한-일 간 냉기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윤 장관이 26~27일 일본을 방...
북한이 실제로 미사일을 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위반으로 다시 안보리에 회부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2006년 이후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들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올 2월 3차 핵실험 뒤 채택된 안보결의 2094호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추가적인 발사, 핵실험 또는 다...
*ICBM : 대륙간 탄도미사일 ‘미니트맨3’ 북한 당국으로부터 철수 계획 제출을 요구받은 평양 주재 외국 공관들은 일단 사태 추이를 관망하며 정상 업무를 보고 있으며, 평양 분위기도 외국인 관광이 계속되는 등 여느 때와 다름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북한을 자극할 것을 우려해 예정됐던 미사일 시험 발사를 연...
3일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 열린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가 전향적으로 논의됨에 따라, 양국의 협상이 막판 속도를 낼 것인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정부는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해 조심스런 태도를 보이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박 대통령의 5월 방미 이전 타결이 희망적”이라는 케리 미 국...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2일 미국을 방문한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도 11일 한국을 찾는다. 새 정부 출범 직후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두 나라 외교사령탑이 이처럼 짧은 기간에 서로 오가며 연쇄회동을 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윤 장관은 4일까지 미국에 머물며 존 케리 국무장관과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연다. ...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이 27일 통일부·외교부의 업무보고를 통해 좀더 뚜렷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이날 대화와 압박의 ‘투 트랙’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핵심 열쇳말로 제시됨에 따라 새 정부가 펼칠 대북정책의 향배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사실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겠다는 이른바 투 트랙은 새 정부 ...
유엔 인권이사회의 결의로 북한 인권조사위원회(IOC)가 출범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선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결의”라며 강력 반발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1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설치 등을 내용으로 하는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