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낙동강 하구에 갯벌식물 ‘새섬매자기’ 11만포기 심은 사연

등록 2022-08-15 12:00수정 2022-08-15 14:09

낙동강 하구찾는 멸종위기종 고니 먹잇감
새섬매자기 염분불균형에 분포면적 크게 줄어
환경부, 지난해와 올해 11만포기 심어 가꿔
낙동강 명지갯벌의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부 제공
낙동강 명지갯벌의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부 제공
정부가 낙동강 하구에 고니가 먹을 수 있는 갯벌식물을 심어 가꾸기로 했다.

환경부는 15일 “한국수자원공사, 부산시, 낙동강하구에코센터와 함께 16일 오후 낙동강 하구 인근 명지갯벌에서 새섬매자기를 심는 행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새섬매자기는 내염성이 있는 사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바닷가 습지에 분포한다. 이 식물의 땅속에서 자라나는 덩이줄기(괴경)는 겨울 철새 고니류의 중요한 먹잇감이다.

명지갯벌은 낙동강 하구의 대표적인 새섬매자기 군락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가 자주 찾았다. 하지만 명지갯벌의 새섬매자기 군락지는 염분 농도 불균형, 주변 난개발 등의 이유로 분포 면적이 2005년 75만 2719㎡에서 2018년 26만 6,184㎡로 3분의 1 감소했다.

새섬매자기와 고니의 먹이가 되는 괴경(덩이줄기)의 모습.  환경부 제공
새섬매자기와 고니의 먹이가 되는 괴경(덩이줄기)의 모습. 환경부 제공
지난해에는 명지갯벌과 을숙도 남단 일대에 새섬매자기 모종 5만 포기를 심은 데 이어, 올해는 6만 포기를 심을 예정이다. 환경부는 “새섬매자기 심기가 모두 끝난 이후에 생육 현황과 낙동강 하구 철새 도래 현황을 지속해서 관측하여 기수생태계(강물과 바닷물이 만나 형성되는 생태계로 염분의 농도가 다양해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 복원 효과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정부, ‘1천명’까지 물러섰지만…의협·전공의·교수, 이것도 거부 1.

정부, ‘1천명’까지 물러섰지만…의협·전공의·교수, 이것도 거부

“소박한 자유인 홍세화, 당신이 있어 근사했습니다” 2.

“소박한 자유인 홍세화, 당신이 있어 근사했습니다”

홍세화의 마지막 인사 “쓸쓸했지만 이젠 자유롭습니다” 3.

홍세화의 마지막 인사 “쓸쓸했지만 이젠 자유롭습니다”

봄 맞아 물오른 버드나무 40그루 벤 뒤…5만평 모래톱 쑥대밭으로 4.

봄 맞아 물오른 버드나무 40그루 벤 뒤…5만평 모래톱 쑥대밭으로

이종섭의 ‘자백’,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다 [논썰] 5.

이종섭의 ‘자백’,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다 [논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