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근골격 갈아 만드는 빵…“노동자들은 왜 이리 순할까요”

등록 2023-01-28 13:44수정 2023-01-29 12:31

[한겨레S] 박수정의 오늘, 여성노동자
제빵공장 생산직 여희씨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생산할 때 소음 문제가 있어요. 기계 굴러가는 소리가 크죠. 특히 배합기 소리요. 어떤 건 웅-웅- 하는데 멀리서도 귀가 아파요. 스테인리스 통이 와장창 부딪히는 소리도요. 모든 게 다 무거운 스텐이라 어디 좀만 부딪혀도 소리가 커요. 빵 옮기는 수레 ‘락카’도 철제라, 끌고 갈 때 흔들리는 소리가 요란해요. 기계 알람 소리가 여기저기서 울려요. 지속적인 소리에 일시적인 소리까지, 잠시도 조용할 때가 없어요. 큰 소리가 쾅쾅댈 때마다 실제 귀가 아픈데, 여기에 계속 노출되다간 사람이랑 일상적인 대화가 안 되겠구나 싶었어요. 보건실에 귀마개가 있지만 오래 끼면 불편해서 잘 안 쓰게 돼요.”

여희(가명)씨는 생산직이다. 소음 가득한 제빵 공장에서 하루 12시간 맞교대로 일한다. 아침(저녁) 7시 반에 시작해 저녁(아침) 7시 반에 마치는데, 일주일마다 주야간이 바뀐다. 워낙 빵을 좋아해 빵 생각만으로도 즐겁다던 사람이다. 선물도 세계 빵 도감 책으로 하던 사람이다. 24시간 빵을 생산하는 회사에서 노동자 여희씨는 행복할까.

생산직 노동가치는 왜 최저?

“공장 기계는 계속 돌고 주야로 사람만 바뀌어요. 주 52시간 일하는데, 점심(야식)시간 빼고 11시간씩 5일이면 55시간이니까, 주중에 하루 3시간 일찍 퇴근하거나 늦게 출근해요. 시차퇴근, 시차출근이라고 하죠. 주 40시간 월 최저임금이 실수령액 181만원이잖아요? 이걸로는 생계비가 안 되니까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이 붙는 일자리를 찾는 거죠.”

이곳의 고용은 단기계약직·무기계약직·정규직으로 나뉜다. 단기직은 계절상품 생산에 일시 충원하는데, 시급이 상대적으로 높아(1만2천~1만3천원) 20대도 많이 몰린다. 무기직의 임금은 최저임금과 비슷하나, 일정 기간을 근무하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정규직은 상여금과 직원 복지가 생긴다. 그런데 빨리 목돈을 벌겠다고 온 단기직도, 정규직을 바라고 온 무기직도 못 버티고 금방 떠난다. 그래서 모집 공고가 유독 잦다. 구분을 두지 않고 처음부터 높은 시급으로 정규직을 뽑는다면 어땠을까.

“힘든 일을 잘 버티는 편인데, 나도 도망가고 싶었어요. 그동안 도망가는 사람 많은 데서 일해봤는데, 나중에 깨달았어요. ‘아, 저 돈 받고 저 일을 하면 안 되는구나. 도망간 애들이 현명하구나.’ 기계가 도는 동안 빵이 쉴 새 없이 나와요. 그러면 빵을 스텐 채반에 담아 계속 옮겨요. 채반이 무겁죠. 11시간 나르면 나중에 손목이 막 후들거려요. 어깨가 빠질 것 같아요. 계속 똑같은 동작을 하니까요. 반죽 젓는 사람은 팔이 아프죠. 집에서 반죽하는 걸 상상하면 안 돼요. 다들 손목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해요. 그리고 여기는 다 11시간을 서서 일해요. 앉을 곳도, 앉을 시간도 없어요. 한자리에 계속 서서 일하면요, 서너시간만 해도 다리가 너무 아파요.”

여희씨는 일할 때면 종아리에 압박 스타킹을 신는다. 사무전문직에서 생산직으로 이직했을 때 “종아리가 터질 정도로” 아파봤다.

“그때 대체 이걸 감당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당황스러웠는데 다른 언니들은 힘들다는 얘기를 안 해요. 그냥 ‘힘들지, 다리 아프지’ 이러고 말아요. 내가 늘 하는 생각이 있어요. ‘우리 사회는 몸을 쓰는 걸 왜 하찮게 여기지? 이런 사람들의 노동가치를 왜 항상 최저로 취급하지?’ 생산직을 하면 어딘가 아프잖아요. 반복 노동을 하니까. ‘생산직은 누군가의 근골격계를 갈아서 만드는 일이다’라고 나는 정의 내려요. 식품도 누군가의 근골격을 간 거죠. 야간노동 오래 하면 몸이 고장 난다고 하잖아요. 먼 미래에 다 병원비로 나가는데, 생산직 대우가 너무 박해요. 대체 가능한 노동이라고 여기는 것부터가 잘못됐죠. 임금 올릴 생각은 안 하고 외국인 노동자로 메꾸려고 하잖아요.”

고카페인 음료로 버티는 심야노동

일주일마다 돌아오는 야간 근무 때면 여희씨는 적잖이 긴장한다. 주간에 장시간 노동도 만만찮은데 야간이다.

“첫 야간 때였는데, 3일째 되니까 막 두통이 오더라고요. 지금이야 적응해서 두통 올 때쯤 야간 근무가 끝나기는 하는데 아직도 두렵죠. 그때 하루 3시간 잤어요. 아침에 퇴근해서 자려고 누우면 오전 11시 정도 돼요. 해가 쨍쨍하니까 와서 바로 잠을 못 자요. 감기 잘 안 걸렸는데, 바로 감기가 와요. 면역력이 떨어진 거죠. 아침까지 버티려고 야식을 먹는데 소화가 안 돼요.”

여희씨가 겪은바 주야간은 주 생산 품목이 다를 뿐, 야간이라고 생산량과 생산 속도가 줄지는 않았다. 위험을 고려해 더 쉬게 하는 장치도 없었다. 다만 조회에서 관리자가 ‘새벽 4시에서 6시 사이에 사고가 제일 자주 나니까, 그때 항상 정신 똑바로 차리고 있으라’ 당부했다. “처음엔 커피로 버티려고 했어요. 밤 12시쯤 마셨는데, 새벽 3~4시쯤 되니까 잠이 쏟아지고 멍해져서 고문받는 것 같았어요. 4~5시쯤 되니까 서 있는데 뒤로 넘어갈 것 같아요. 큰일 나겠다, 위험하다 싶었죠. 그다음 번 야간부터는 에너지 드링크를 먹었어요. 큰 거 사서 새벽 1시쯤 야식 먹고 나서 반 마시고, 새벽 4시쯤에 한번 더 먹어요. 아침에 잘 자고 일어날 때처럼 말똥말똥하게는 안 되지만, 덜 졸리니까 참고 버텨요.”

작동하는 기계 앞에서 믿고 의지할 건 고카페인 음료뿐. 여희씨는 시차퇴근하는 하루를 빼고 나흘간 마신다. 사람마다 달라 생생하게 일하는 사람도 있다지만, 주간보다 현장 분위기가 처지는 게 눈에 띈다고 한다.

“하루 8시간 일하면 난, 집에 가서 저녁을 먹고 씻고 약간의 여유를 부리고 자고 일어나면 어느 정도 피로가 풀려서 다음 하루 치를 열심히 일하겠는데, 이 회사는 기본으로 11시간이잖아요. 이게 몇년씩 누적되니까 사람들이 항상 피곤한 상태예요. 교대 근무보다는 12시간 근무가 문제 같아요. 8시간으로 3교대 안 되나요? 그러면 돈이 안 되니까 사람들이 어렵겠죠? 이 회사의 좋은 점은, 노동자들이 성실한 거예요. 다들 열심히 일하려는 분들인데 그만큼 대우는 못 받아요. 노동자들은 왜 이렇게 순할까요? 좀 더 영악하고 당당했으면 좋겠어요.”

<여자, 노동을 말하다>(2013) 저자. 여성노동자가 머물고 움직이는 장소, 일하는 시간에서 이야기를 찾아 들려드립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자두농사 청년’ 향년 29…귀촌 7년은 왜 죽음으로 끝났나 1.

‘자두농사 청년’ 향년 29…귀촌 7년은 왜 죽음으로 끝났나

용산 국가안보실·공직기강실 동시다발 전화…‘채상병 기록’ 회수됐다 2.

용산 국가안보실·공직기강실 동시다발 전화…‘채상병 기록’ 회수됐다

“사단장께 건의했는데”…‘해병 철수 의견’ 묵살 정황 녹음 공개 3.

“사단장께 건의했는데”…‘해병 철수 의견’ 묵살 정황 녹음 공개

민희진, 1년 전 “어도어는 내 음악·사업 위한 회사” 인터뷰 재조명 4.

민희진, 1년 전 “어도어는 내 음악·사업 위한 회사” 인터뷰 재조명

의대교수 집단휴진에 암환자들 “죽음 선고하나” 절규 5.

의대교수 집단휴진에 암환자들 “죽음 선고하나” 절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