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명(14·부산 동해중·왼쪽)군, 김윤기(17·민족사관고·오른쪽)
김윤기·김주명군 ‘아시아 습지대회’서 ‘하구 가치’ 강조
“고니, 재두루미, 저어새 등 온갖 희귀새와 수십만 마리의 철새가 찾아 ‘신들의 정원’이라고 비유되는 낙동강 하구가 한국 제2의 도시인 부산에 있다는 것을 소개하자 참가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부산 출신의 중·고교생이 습지보존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낙동강 하구의 우수성과 보존의 필요성을 알리고 돌아왔다.
김윤기(17·민족사관고·오른쪽), 김주명(14·부산 동해중·왼쪽)군은 지난달 26일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 청소년 습지보존 국제 콘퍼런스’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참가자로 초청돼 ‘낙동강 하구의 현명한 이용’을 주제로 발표를 했다. 환경운동연합이 지난 2월2일 습지의 날을 맞아 주최한 청소년 습지연구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은 이들은 홍콩 국제 콘퍼런스 주최 쪽의 초청을 받았다 .
이번 회의에서는 아시아 9개 나라에서 참가한 청소년 연구팀이 각자의 보고서를 발표하고 각국의 습지 현안과 보존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이들은 명지대교, 명지주거단지, 신항만 건설 등 개발 사업으로 말미암은 낙동강 하구 생태계 파괴 실상을 고발했다.
“보존만을 또는 개발만을 부르짖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고 지적한 이들은 하구에 사는 농민과 어민이 환경이 파괴되지 않은 범위에서 생존권을 보장받으며 생태 관광 가이드를 맡는 방식을 비롯해 지역 주민과 하구에 대한 개발 수요가 상생하는 ‘현명한 이용’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윤기군은 “부산이 지닌 세계적 자연유산인 낙동강 하구의 중요성과 아름다움을 아시아 청소년에게 홍보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하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잊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