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지역 소농들이 자신의 통장을 보여주고 있다. 완주군 제공
주민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농의 소득 감소
와 고령화 , 특산품 부재….
10여년 전 완주군은 다른 농촌 지역들이 안고 있던 전형적인 고민거리를 지니고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과 민간이 협력해 농촌혁신모델을 개척했다. 그중 하나가 로컬푸드다. 마을을 돌며 참여 농민을 조직하고, 해외연수와 교육을 통해 농민리더를 육성했다. 농협 등 이해관계자도 설득하고 함께 학습했다 . 군에 중간지원조직을 설치하는 등 행정조직 개편에도 나섰다.
그런 과정을 거쳐 로컬푸드의 주요 민간 주체인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 ’이 자리를 잡았다. 협동조합의 지난해 매출은 348억원이다. 2012~ 2020년 완주군의 로컬푸드 누적 매출은 4천억원에 이른다 . 이 매출 대부분은 지역의 농민에게 다시 돌아간다.
완주의 지역 혁신은 사회적 경제 영역과도 연결된다 . 완주군은 2010년 전국 최초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사회적 경제 ) 분야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었다. 현재는 ‘소셜굿즈 ’라는 이름으로 유·무형의 자산을 상품 (Goods)화하도록 지원한다 . ‘원용복 두부마을 ’, ‘안덕마을 ’ 등 다양하게 활약하는 마을기업들이 대표적이다. 주민들이 운영하는 마을기업을 통해 주민들은 일자리를 얻고, 그 수익은 노인수당, 마을기금 등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로컬푸드와 사회적 경제가 성숙한 만큼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더 많은 농민이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문제, 고령화로 인한 로컬푸드 공급·납품 어려움 등이 있다. 마을기업도 △매출 확대의 한계
△상품의 경쟁 심화 △코로나19 장기화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타격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해 완주군에서는 소득을 기준으로 직매장 수수료를 차등화하거나, 돌봄 등 복지서비스와 로컬푸드를 연결해 농산물을 읍·면 단위에서 순환시키는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지방소멸 문제는 새로운 인구의 유입만으로 해소되지 않는다 . 완주는 주민들이 살 만한 ‘시스템 ’의 구축이 어떻게 가능한지 왜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다.
이다현 희망제작소 연구위원
mangkkong2@makehop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