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10년 만에 그림 망가지는 종이 아쉬워… 전통 한지 만드는 수묵화가

등록 2022-02-16 04:59수정 2022-02-16 08:41

전주 전통한지 ‘도침’ 작업 중인 김호석 화가
일제강점기 실전된 전통 한지제조법 되살려내
예산·인식 부족에 대통령표창도 일부만 한지로
지난달 20일 오전 전북 전주 경원동 한지산업지원센터 뒷마당에 널려 있는 전통한지들. 김양진 기자
지난달 20일 오전 전북 전주 경원동 한지산업지원센터 뒷마당에 널려 있는 전통한지들. 김양진 기자

홑이불처럼 두툼한 종이 수백장이 빨랫줄에 기다랗게 걸려 있었다. 바람에 살랑이는 종이들이 햇볕을 받아 반들반들 윤이 났다.

지난달 20일 오전 전북 전주시 경원동 한지산업지원센터 뒷마당에서 만난 풍경이다. 건물 안쪽 작업장에선 김호석(65) 수묵화가가 직접 쑨 풀을 비닐봉지에서 꺼내 한지 위에 한장, 한장 바르고 있었다.

“물에 푼 찹쌀가루를 1년간 삭혀서 쑨 풀이에요. 한지 위에 보풀이 올라오는데 이렇게 하면 곰팡이나 세균들이 먹을 영양분이 제거돼 수백년을 둬도 종이가 그대롭니다. 또 보푸라기를 잠재워서 글씨가 번지지 않아요. 그렇게 해서 말려서 도침(搗砧·두드려 다듬기)으로 기공까지 눌러주면 글씨가 번지지 않고 오래가는 전통한지가 만들어지는 겁니다.”

김 화가는 2015년부터 해마다 두번, 이틀 일정으로 이곳 한지산업지원센터를 찾는다. 정부포상증서(훈장·포장 및 대통령·국무총리 표창 용지)를 만드는 최종 과정인 도침작업을 직접 하기 위해서다. 도침작업은 한쪽을 풀칠한 뒤 말리고 반대쪽을 풀칠해 말리고, 두드린(200회가량) 뒤 말리고, 다시 두드려 말리는 순서로 진행된다. 지난해 정부포상지 3만5천여점 가운데 10%가량(3347점, 훈장·포장 전부와 대통령표창 일부)이 이런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고 한다.

지난달 20일 전북 전주 경원동 한지산업지원센터에서 만난 김호석 화가. 김양진 기자
지난달 20일 전북 전주 경원동 한지산업지원센터에서 만난 김호석 화가. 김양진 기자

중국 ‘선지’ 일본 ‘화지’와 다른 한국 ‘한지’

수묵화가가 그림이 아닌 한지 만드는 일에 나선 이유는 뭘까.

김 화가는 “어려서부터 수묵화를 그리면서 ‘단원 김홍도, 겸재 정선 등 선조들의 그림은 하나같이 번짐이 없는데, 시중에 파는 한지는 왜 이렇게 번질까’라는 고민이 많았다. 그런데 ‘한지’란 게, 사실은 닥나무 20%에, 학생들 시험 답안지, 종이컵 등 폐지 80%를 섞은 ‘화선지’였다”며 “일본 화지의 ‘화’와 중국 선지의 ‘선’을 따서 만든 말인데, 지금도 많은 화가들이 이 화선지에 그림을 그린다”고 말했다. 김 화가가 1973년 그린 ‘춘우정 순절투수도’도 10여년 만에 그림 속 얼굴들이 떨어져 나갔다고 한다.

이날 도침작업을 참관한 한윤희 명지대 문화재보존학과 겸임교수(제지공학 전공)는 “중국·일본 종이는 잘 번지지만 한지는 이와 달리 안 번지는 특징이 있다”며 “일본강점기 때 한지의 역할을 일본 ‘화지’가 대신하면서 전통한지 기술 전승이 사라지다시피 했고, 1970∼80년대 일본 상인들이 (한지가 특산품인) 전주 등지 한지공장들에 자신들의 방식대로 종이를 생산해줄 것을 대규모로 의뢰하면서 기록용 전통한지는 아예 자취를 감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한지가 무조건 화지·선지보다 우수하다는 건 아니다. 종이가 탄력 있고 고른 점은 화지의 장점이지만, 질기고 오래가는 점은 한지가 앞선다. 한지의 개성을 살리고 계승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센터에서 김 화가를 도와 일하던 박신태(82)씨도 “아버지 때부터 한지를 만들었고, 17살 때 가업을 이어받으면서도 ‘붓이 잘 나가고 잘 번지게 하라’고 배웠지, 이렇게 안 번지는 한지를 만드는 건 보지 못했다. 닥(나무)을 100% 넣는 종이도 여기 와서 처음 봤다”고 말했다.

김 화가는 “40여년 전부터 기회 될 때마다 수소문해 전북 전주·임실 등지에서 종이를 사들이고, 궁중에 납품했던 노인 다섯분을 비롯해 50여명을 만나서 전통한지 만드는 과정을 듣고 기록했다”고 말했다.

도침 전(왼쪽) 보푸라기가 일어나 있는 전통한지와 도침 후(오른쪽) 반들반들 윤이 나는 전통한지. 김양진 기자
도침 전(왼쪽) 보푸라기가 일어나 있는 전통한지와 도침 후(오른쪽) 반들반들 윤이 나는 전통한지. 김양진 기자

잿물에 삶되 잿물 완전히 빼는 게 핵심

이렇듯 어렵사리 제조 과정이 복원된 전통한지는 2015년부터 정부포상 용지로도 사용되고 있다.

박후근 행정안전부 상훈과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수입산 닥과 펄프 혼합 기계 한지로 만든 양지에 먹과 잉크로 쓰면 정부포상 용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정부포상용지를 전통한지로 쓰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행안부에 전통기술로 한지를 만들어 쓰는 화가가 있다며 김 화가가 추천됐다고 한다. 사실 김 화가도 질 낮은 정부포상증서 피해자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 고조할아버지 춘우정 김영상(1836∼1911) 선생의 훈장증에 쓰인 사인펜 글씨가 수훈 10여년 만에 바랬다고 한다.

현재 행안부에 납품되는 전통한지는 ①3살 이하 닥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②그 껍질을 잿물로 삶은 뒤 ③삶은 닥나무 껍질을 흐르는 물에 1주일간 담가두고 ④방망이로 두드려 찧고 ⑤물에 풀어 발틀로 뜬 뒤 ⑥젖은 종이의 물기를 짜고 ⑦4장씩 겹쳐 말리고 ⑧매끄럽게 해 만든 ‘4합지’다. 수백년 동안 이상 없이 보관되고 있는 ‘조선왕조실록’, ‘훈민정음’, ‘직지심체요절’ 등에도 사용된 종이다. ①∼⑦ 과정은 공개입찰을 거쳐 선정된 4곳 공방에서 진행하고, ⑧번 과정은 김 화가가 직접 한단다. 이어 색상·두께·밀도·내절도·인장강도·피에이치(pH·산도) 등 8가지 행안부 규격 심사를 거친다. 3천번 이상 접었다 폈다 해도 끊김이 없어야 하며, 2천번 이상 당겨도 찢어져선 안 된다.

주변 만류에도 김 화가가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다는 노하우를 살짝 언급했다.

“콩대든 고춧대든 잿물 만드는 재료는 뭐든 상관없다. 천연 재료면 된다. 또 잿물 피에이치 농도가 10.4를 넘어야 닥나무 껍질이 제대로 삶아진다. 10.3에서는 10시간을 삶아도 안 삶아진다. 또 11.4가 넘으면 섬유가 손상된다. 이 때문에 12가 넘는 양잿물(표백제)을 쓰면 안 된다. 흐르는 물에 1주일 동안 담가두는 것도 중요하다. 잿물이 종이에 남지 않아야만 중성지(pH 7)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한 교수도 “전통한지를 만든다는 지방의 한 작업장에 들어서니 표백제 냄새가 나더라. 표백제를 쓰면 종이에 갈색 반점이 생긴다(폭싱 현상). 또 남은 잿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종이가 열화되고 결국 바스러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우리가 흔히 ‘한지’라고 부르는 ‘화선지’가 바로 이런 산성지란다.

화선지에 그렸다가 손상된 ‘춘우정 순절투수도’. 1973년 작품. 김호석 제공
화선지에 그렸다가 손상된 ‘춘우정 순절투수도’. 1973년 작품. 김호석 제공

천만원짜리 그림을 500원짜리 화선지에

전통한지 복원에 어렵사리 성공하고, 안정적인 수요처도 생겼지만 아쉬움은 여전하다. 장당 2만원으로 일반 기계 한지 훈장용 종이값(장당 500원)에 견줘 40배나 비싸다는 이유로, 포상지 일부만 전통한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김 화가는 “중국 명나라 문인 동기창(1555~1636년)과 근대화가인 장조화(1940~1986년) 등 중국 화가들도 조선종이를 애용했다”며 “그런데 정부나 미술계는 전통한지에 대한 이해가 없다. 화가들도 1천만원짜리 그림을 어떻게 500원짜리 종이에 그릴 수 있나. 문화재청도 문종이(창호지)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겠다면서도 기록용 전통한지 사용처를 넓혀가는 데는 무관심하다. 일본 강점기에 군사용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배웠던 사람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할 정도”라고 말했다.

임현아 한지산업지원센터 연구개발실장은 “예산당국은 한지 단가가 높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부포상은 대대손손 물려주는 의미가 있고, 수공이 많이 들어가서 사실은 더 비싸야 한다”며 “납품자 중에는 국가중요무형문화재도 포함돼 있다. 이들에게 연금을 주는 것만큼이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납품처를 확대하는 게 전통을 계승하는 데 중요한데, 이런 점이 간과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암수딴그루인 닥나무의 수나무가 사라질 위기여서 요즘 닥나무 식재에도 바쁘다는 김 화가가 말했다.

“모든 예술에서 재료의 발견은 혁명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미술 대학에선 중국·일본 안료로 화선지에 그림을 배우고 있다. 40여년째 그림을 그리면서도 제대로 된 종이 연구를 계속하는 이유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

김호석 화가가 전통한지의 재료인 닥나무(왼쪽 키 큰 나무)와 일본 화지의 재료인 삼지닥나무(김 화가 뒤쪽 키 작은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양진 기자
김호석 화가가 전통한지의 재료인 닥나무(왼쪽 키 큰 나무)와 일본 화지의 재료인 삼지닥나무(김 화가 뒤쪽 키 작은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양진 기자

“권력, 먼지처럼 서서히 깎여나가”…‘얼굴 없는 초상’ 의뢰했던 노무현 대통령

김호석 화가가 전통한지의 재료인 닥나무(왼쪽 키 큰 나무)와 일본 화지의 재료인 삼지닥나무(김 화가 뒤쪽 키 작은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양진 기자
김호석 화가가 전통한지의 재료인 닥나무(왼쪽 키 큰 나무)와 일본 화지의 재료인 삼지닥나무(김 화가 뒤쪽 키 작은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양진 기자

엄밀히 말하면 김 화가가 만든 전통한지의 ‘첫 정부 납품’은 2007년에 이뤄졌다. 김 화가가 그린 노무현 대통령 초상화도 전통한지에 그려졌다. 납품 비용은 3500만원. 얼굴의 작은 상처나 눈썹 개수를 셀 수 있을 만큼 정밀한 그림인데, 이런 그림의 비결을 김 화가는 “전통한지를 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 초상화는 2007년 여름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 청와대 대통령 주거공간 앞마당에서 이틀간 진행됐다. 정상문 총무비서관을 통해 김 화가를 찾아 초상화를 그려달라고 의뢰했다고 한다. 김 화가는 “시원시원한 분이었다. 대화가 재밌었다”고 돌이켰다. 그는 “‘비단에 그릴까요? 종이에 그릴까요?’” 하고 하니 노 대통령은 ‘이왕이면 조선지에 전통방식으로 합시다. 옷은 조선옷을 입으면 되겠지요?’라고 해, ‘아, 전통한지를 잘 알고 나를 불렀구나’하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안 그래도 ‘삐딱하다’는 소릴 듣는 노무현인데, (청와대 세종실 앞 복도에)서양화만 걸어놓고 전통문화를 되살리자고 말하는 게 맞지 않아서 개혁을 해볼랍니다”라고 했다고도 했다. 다만, 김호석 화가의 ‘노무현 초상화’는 청와대가 아닌 봉화마을에 걸려있다. 김 화가는 “(노무현 초상화는)다른 대통령 초상들보다 세로가 20㎝ 정도 길었는데, 나중에 만나보니 노 대통령이 ‘이걸 걸면 삐딱하다는 소리 또 듣게 됐다. 그냥 봉화마을로 가져가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2007년 말 임기를 두 달 앞둔 상황에서 ‘얼굴 없는 노무현’을 그린 사연도 소개했다. 역시 전통한지에 그렸다. 노 대통령은 김 화가의 ‘성철스님’이라는 작품을 봤다며 김 화가에게 ‘왜 성철 목을 쳤습니까?”라며 김 화백에게 ‘얼굴 없는 노무현’을 그려달라고 직접 의뢰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렇게 주문했다고 한다.

“세상인심이나 권력이라는 건 먼지처럼 서서히 깎여 나가는 거예요. 지금은 자리에 있지만 퇴임하면 민주당도 나를 비판할 겁니다. 권력의 자리에 있을 때 권력을 보고 굽신굽신하는데 인간 노무현은 그렇게 되지 않길 바라지만 그게 그렇게 되겠습니까. 그런 마음을 담아주세요”(노무현 대통령)

스케치 뒤에 1년을 넘겨 그림을 완성했으나 당시는 검찰 수사가 한창이었다. 결국 완성된 그림은 주인을 찾지 못해 김 화가의 집에 보관되고 있다.

김 화가의 작품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친숙한 작품이 많다. 지난해 초중고 교과서·지도서 등에 119편이 실려있다. ㈜지학사 독서 교과서에 ‘정약용’, 동아출판㈜의 초등 검정 지도서 미술 5∼6에 ‘키재기 꿈꾸기’ 등의 작품이 실려있다. 또 문재인 정부 첫해 인도 모디 총리가 ‘김 화가에게 초상화를 의뢰하고 싶다’고 보내 김의겸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 친필 서한을 전달해 김 화가는 모디 총리 초상화도 그렸다.
전통한지에 그려진 ‘노무현 초상’. 김호석 제공
전통한지에 그려진 ‘노무현 초상’. 김호석 제공

㈜지학사 독서 교과서에 실린 ‘정약용’. 전통한지에 그려졌다. 김호석 제공
㈜지학사 독서 교과서에 실린 ‘정약용’. 전통한지에 그려졌다. 김호석 제공

전통한지에 그려진 ‘모디 인도총리 초상’. 김호석 제공
전통한지에 그려진 ‘모디 인도총리 초상’. 김호석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무안공항 181명 탄 제주항공 외벽 충돌…최소 28명 사망 1.

무안공항 181명 탄 제주항공 외벽 충돌…최소 28명 사망

[영상] 무안 항공기 생존자 “한쪽 엔진서 연기 난 뒤 화재” 2.

[영상] 무안 항공기 생존자 “한쪽 엔진서 연기 난 뒤 화재”

130명 목숨 앗아간 김해 비행기추락 사고를 아시나요?…20주기 추모제 3.

130명 목숨 앗아간 김해 비행기추락 사고를 아시나요?…20주기 추모제

‘뭐요’ 임영웅 “걱정과 심려 끼쳐 죄송…저는 노래하는 사람” 4.

‘뭐요’ 임영웅 “걱정과 심려 끼쳐 죄송…저는 노래하는 사람”

광주전남촛불행동 “헌재행 촛불 버스 운행”…요금 5만원 5.

광주전남촛불행동 “헌재행 촛불 버스 운행”…요금 5만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