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홍보수단 이용” 백남준쪽 불참통보 해와
오는 5월초 ‘백남준 미술관’( 조감도) 건립 기공식이 반쪽으로 치뤄질 처지에 놓였다. 미국 뉴욕에 있는 백남준 스튜디오쪽이 경기도가 ‘미술관을 정치적 홍보수단으로 이용하려한다’는 주장과 함께 기공식 불참의사를 밝히면서 경기도와 마찰을 빚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 문화계에서는 미술관은 문화적으로 판단해 차질없이 진행되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 “무리한 요구 거부하자 불참”
문화계 “정치·상업적 이용 말라” 9일 경기도 등의 말을 종합하면, 뉴욕 백남준 스튜디오 디렉터인 하쿠다 겐이 최근 ‘미술관을 정치적 홍보수단으로 이용하려한다’며 경기도가 주관하는 백남준 미술관의 기공식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밝혔다. 하쿠다 겐은 백남준의 조카이며 법률 자문가로, 백남준 작고 이후 백남준 뉴욕 스튜디오의 관장을 맡고 있으며 고 백남준의 유품에 대한 법적인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또 백남준 사망 뒤 뉴욕을 방문한 경기도 조문단에게도 뉴욕 스튜디오쪽은 “더 이상 아무 것도 도울 수 없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미술관 기공식의 정치적 이용 논란은 경기도가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경기도는 백남준 미술관 기공식을 오는 6월에 착공하기로 밝혔다가 오는 5월9일로 앞당겼다. 현행 선거법(86조 1항)은 ‘후보자 등록일인 5월15일부터 선거가 끝날 때까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시행하는 사업의 기공식을 금지’하고 있다. 지역문화계의 관계자는 “경기도가 선거법상 제약을 피해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손학규 지사 홍보를 하려고 기공식을 앞당기는 등의 모습을 보이자 이런 해석이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경기도는 그러나 손학규 경기지사는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으며 오히려 뉴욕 백남준 스튜디오쪽에서 무리한 요구를 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기공식 불참의사를 밝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박물관 건립에 참여할 컨설턴트를 뉴욕 스튜디오가 추천한 해외인사로 쓰도록 무리하게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역 문화계는 이에 대해 백남준 미술관의 정치적 또는 상업적 이용의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김영기 경기지회장은 “백남준 미술관은 백 선생의 예술혼이 오염되지 않으면서 세계적 예술가의 작품을 보기를 바라는 지역주민의 바람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한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