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상안에 카드사 반발
시 “데이터 관리비 많이 들어”↔업체 “적자 규모 먼저 밝혀야”
시 “데이터 관리비 많이 들어”↔업체 “적자 규모 먼저 밝혀야”
최근 협상 난항으로 교통대란이 우려되는 후불제 교통카드(신용카드 겸용) 수수료 분쟁에 대해 서울시가 한국스마트카드의 의견을 대폭 수용한 중재안을 내놨다. 도시철도공사 노동조합은 “공사가 무리한 방법으로 한국스마트카드를 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 장정우 교통개선추진단장은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 한국스마트카드사와 협상중인 삼성카드, 신한카드 등은 장당 연간 2천원 가량의 수수료가 적정하다”며 “신용카드사는 스마트카드에 △기존 수수료 0.5%+1500원 이내의 데이터관리비나 △수수료 1.0%로 인상+1천원 이내 데이터관리비 중 한 가지 형태로 수수료를 지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장 단장은 “후불교통카드의 신용정보와 데이터 관리 등 카드시스템 운영비용이 선불교통카드보다 최소 20~40%이상 더 든다”며 “현대카드·엘지카드·국민은행·비씨카드 등이 고객혼란 최소화를 이유로 후불교통카드 발급을 중단한 것은 무책임한 일처리”라고 비판했다.
지금까지 신용카드사들은 운송기관들로부터 사용액의 1.5%의 수수료를 받았고 이 가운데 0.5%를 한국스마트카드에 요금 정산 수수료로 제공해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스마트카드가 정산 수수료를 1.5%로 높여줄 것을 신용카드사들에 요구해 갈등이 생겼다. 서울시의 중재안은 한국스마트카드쪽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이에 대해 카드업계에서는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여신금융협회 김인성 팀장은 “서울시가 한국스마트카드 의견만을 듣고 이런 중재안을 내놓은 것 같다”며 “한국스마트카드의 적자가 크다면 그 가운데 후불제 교통카드 운영으로 인한 적자가 얼마인지를 먼저 정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하철 5~8호선을 운행하는 도시철도공사 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 “지난해 9월 이명박 서울시장의 교통보좌관이었던 음성직 사장이 취임하자마자 한국스마트카드로부터 받는 티머니카드 충전수수료를 아무런 이유없이 1.5%에서 0.7%로 깎아줬다”며 “이로 인해 연간 20억 가령의 공사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평훈 도시철도공사 과장은 “구형 버스카드의 충전때 수수료 1.5%를 한국스마트카드로부터 받아오다가 철도공사(옛 철도청), 서울메트로(옛 서울지하철공사), 한국스마트카드와 협상을 벌여 지난 2월부터 3개 기관 모두 충전 수수료를 0.7%로 정했다”며 “1.5%의 수수료가 절대 기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