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연동 13만평·온산 46만평에 화학공장 등 추진
환경단체·환경부 “대기오염 가중 불보듯” 취소 촉구
환경단체·환경부 “대기오염 가중 불보듯” 취소 촉구
울산시가 전국에서 인체유해 화학물질이 가장 많이 배출되고 있는 울산·온산공단 안 자연녹지와 바다를 공장 터로 개발한 뒤 기업체를 유치하려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 1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울산 남구 용연동 자연녹지 13만여평에 석유화학업체 ㅇ사의 중질유분해시설을 증설하는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변경)이 조건부 승인됨에 따라 지난달 ㅇ사를 개발 시행자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ㅇ사는 2008년까지 이 곳에 1조6500억원을 들여 중질유분해시설 공장을 지은 뒤 2009년부터 휘발유, 등·경유, 프로필렌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울산환경운동연합과 울산생명의숲 등 지역 환경단체들은 “시가 2003년부터 국가공단에서 발생하는 인체유해물질이 시내로 넘어오는 것을 막으려고 4000억원 이상을 들여 완충녹지 조성사업을 벌이면서 오히려 완충녹지를 없애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대규모 화학공장이 밀집한 울산·온산공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인체유해 화학물질이 전국에서 많이 배출 되는 곳인데 시가 화학공장 건설에 앞장서고 있다”며 “화학공장 건립계획을 취소하라”고 말했다.
ㅇ사 쪽은 “배출가스 농도가 법정 환경기준치에 훨씬 밑도는데다 중질유분해공장 예정 터를 대체하는 녹지 7만2000여평을 조성한 뒤 시에 기부채납할 예정”이라며 “대기오염 가중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반박했다.
또 시가 용지 부족을 겪고 있는 지역 조선업체를 위해 울주군 온산읍 강양리 해안 매립예정지 14만평과 우봉리 임야 32만평 등 46만평 개발하려 하자 환경부가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환경부는 “석유화학공장 등이 밀집한 온산공단에 공장이 추가로 들어서면 대기오염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며 “시는 일정 비율의 대체 녹지를 확보하고 획기적인 대기오염 저감대책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시는 “대체녹지 조성비가 막대한 데다 온산공단 안 20여개 입주업체들의 대기오염 총량을 줄이려면 기업들이 환경개선 투자비를 늘려야 하는데 기업경쟁력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시는 “대체녹지 조성비가 막대한 데다 온산공단 안 20여개 입주업체들의 대기오염 총량을 줄이려면 기업들이 환경개선 투자비를 늘려야 하는데 기업경쟁력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