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메모리얼파크 사업 효율성 떨어져”
경기도가 도내 공설납골당의 부족현상이 우려된다며 강력히 추진해온 분당 판교새도시 지역내 판교 메모리얼파크사업을 불과 1년도 안돼 시급성과 경제성이 없다는 등의 석연치 않은 이유로 전면 백지화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4일 “사업 투자의 효율성과 시급성, 경제성을 판단한 결과 더 이상 판교 메모리얼파크 건립 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그러나 불과 10개월 전인 지난해 6월 경기개발연구원에 의뢰한 ‘판교 메모리얼 파크 조성의 타당성 분석 및 기본구상’을 통해서 “공설 납골당은 경기도 전체적으로 2005년부터 공급부족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2035년까지 총 83만5천위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납골당, 납골묘와 같은 공설납골시설이 전국적으로 부족 현상이 예상되는 만큼 장기적 수요를 충당하려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경기도는 또 사업백지화의 다른 이유로 “주택공사에서 판교 납골시설 부지를 무상으로 공급받아 5만기 규모의 봉안시설을 건립할 예정이었으나 경기도가 돈을 주고 매입해야한다”는 법제처의 법령 해석을 들었다.
그러나 경기도가 영어마을과 고양 한류우드 등에 각종 사업에 수천억원의 사업비를 쏟으면서도 정작 자체 용역결과 부족현상이 예상된다는 공설납골시설 건립을 위해 1만여평의 땅을 유상으로 사들일 예산이 없는 지도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아울러 경기도의 이번 사업 백지화 조처로 도내 공설납골시설의 부족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의 판교메모리얼 파크 사업은 분당구 판교동 일대 1만여평에 5만기 규모의 도립 납골시설을 지어 오는 2007년말 준공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사업추진 과정에서 전 경기도 정무부지사이며 당시 경기개발연구원 원장인 한현규씨가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한 장묘업체에서 5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홍용덕 기자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