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집행부 총사퇴를”
집행부쪽선 “전임자 책임”
집행부쪽선 “전임자 책임”
울산 현대중공업 노조가 사내 오토바이 수리점 운영업자 선정 입찰 비리 책임을 놓고 심각한 내분에 휩싸였다.
현장조직 전노회(전진하는노동자회) 등으로 꾸려진 ‘현대중공업 노조 혁신대책위원회’는 11일 “현 노조 집행부 간부 2명이 2003년 오토바이 수리점 운영업자 선정 입찰 비리에 연루됐는데도 현 집행부가 반성은 커녕 입찰 비리를 조합원들에게 알리는 이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며 월권행위를 하고 있다”며 현 집행부의 총사퇴를 촉구했다.
울산지검은 지난달 24일 현대중공업 노조가 후생복지사업으로 운영하는 오토바이 수리점 운영권 입찰과정에서 금품을 받고 입찰 정보 등을 전해준 혐의로 6명을 기소했으며, 이 가운데 16대 집행부 후생복지부장 ㅈ씨(당시 운영위원)와 지원분소장 ㅊ씨(당시 후생복지부장) 등 현 집행부 간부 2명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현 집행부는 “이전 집행부 때 저질러진 개인 비리를 현 집행부가 책임지라고 하는 것은 억지”라며 “1심 재판이 끝나면 노조의 명예를 훼손시킨 당사자에 대해서는 중징계를 하겠지만 근거없이 노조의 명예와 도덕성을 실추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반박했다.
노조 혁신대책위와 노조 집행부간 대립에 대해 지역 노동계에선 옛 민주노조 정통성을 이으려는 전노회와 새로운 실리주의 노동운동을 표방하며 2001년 설립된 노민투(노동자 민주혁신 투쟁위원회) 사이의 사상·노선투쟁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앞서 전노회 등 14개 현장조직 대표들은 지난해 6월 노민투가 장악한 현 집행부와 노선을 같이하는 15대 집행부가 ‘참여와 협력으로 노사 공존공영’ 등의 내용을 담은 ‘새 이념·새 강령 선포식’을 열자 “민주노조의 정신을 내팽개치려 하고 있다”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당시 집행부는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대표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했다가 나중에 철회했다.
특히 15대 집행부는 2004년 2월 현대중공업 회사 안에서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내 하청업체 노동자 박일수(당시 50살)씨를 열사로 인정하지 않아 같은해 민주노총 산하 금속연맹으로부터 “민주노조의 기풍을 해쳤다”는 이유로 제명을 당했다.
이에 전노회 등은 “1987년 피와 땀의 대가로 만든 민주노조의 자부심을 무너뜨렸다”며 당시 집행부를 어용노조라며 맹비난했고 당시 집행부 쪽도 명예훼손 대응 방침을 세우는 등 강경 대응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