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함대 논란 화중에 ‘기름’…군사 요충지화 우려
시민단체 “평화거점이 분쟁의 핵 될것…즉각 철회를”
시민단체 “평화거점이 분쟁의 핵 될것…즉각 철회를”
공군이 제주도에 전략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등 파문이 확산될 전망이다.
특히 공군의 전략기지 건설 계획은 최근 몇년 동안 추진돼 온 해군의 전략기동함대 건설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불거져 제주도가 군사적 요충지화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12일 긴급성명을 내고 공군의 전략기지 건설문제와 관련해 제주도는 진위파악과 함께 적극 대응할 것을 요구했다.
참여환경연대는 “언론보도에 따르면 제주도 공군 전략기지 건설계획이 2006~2010년 국방중기계획에 포함된 사실이 확인됐다”며 “제주도는 지난해에 불거진 기지 건설 소문에 이어 이번에 보도됐다는 점에서 즉각적인 진위파악에 나서고 단호한 대응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참여환경연대는 이어 “해군기지 건설 계획에 이어 공군기지 건설까지 추진된다면 제주도는 사실상 ‘군사지대’화할 뿐 아니라 어려운 과정을 통해 이뤄온 4·3문제 해결 등 제주도민의 평화를 향한 염원이 물거품되고, 큰 상처로 남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도 이날 성명을 내고 “2002년부터 남제주군 안덕면 화순항 해군기지가 들어설 경우 해군기지와 연계해 공군기지가 들어올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제주도가 분쟁의 핵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해왔다”며 “공군의 제주도 전략기지 건설계획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제주의 군사기지화는 화순해수욕장 일대와 대정지역을 군사기지로 만들어 주민들의 삶의 양식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것”이라며 “제주도는 동북아의 ‘평화거점’이 아닌 ‘충돌지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강창일 의원도 이날 국방부와 기획예산처 등에 △국방중기계획 확정여부 △중기계획에 제주공군기지 건설계획 포함여부 △공군기지 건설계획에 따른 관련 예산포함 여부 등을 서면질의했다.
한편, 공군 전략기지 건설장소로 알려진 남제주군 대정읍 옛 알뜨르비행장 일대는 일제 강점기 때의 군사시설 등이 고스란히 남아있어 제주도 등이 전쟁유적지화할 예정인데다 지역주민들에 토지를 불하하는 문제가 남아있는 등 걸림돌이 많은 상태다. 제주/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편, 공군 전략기지 건설장소로 알려진 남제주군 대정읍 옛 알뜨르비행장 일대는 일제 강점기 때의 군사시설 등이 고스란히 남아있어 제주도 등이 전쟁유적지화할 예정인데다 지역주민들에 토지를 불하하는 문제가 남아있는 등 걸림돌이 많은 상태다. 제주/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