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례 신청 퇴짜 놓더니” “양해각서 대다수 시민 뜻”
교육부와 울산시가 2009년 3월 개교 예정인 울산국립대에 사범대를 설치하려 하자 울산대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교육부와 울산시는 지난해 9월 공동으로 체결한 양해각서에 따라 이달 말께 공청회를 연 뒤 6월 말까지 입학정원 1000명 안에서 자동차·조선 등 울산의 주력산업 등과 관련한 학과 및 일부 사범계 학과의 명칭과 정원 등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교육부와 울산시는 현재 울산대에 설치된 학과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울산대 쪽과 논의는 하되, 울산국립대 양해각서에 일부 사범대 학과를 포함한다고 명시한 만큼 울산대에 사범대를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울산 유일의 4년제 대학인 울산대는 “1993~2002년까지 10년 동안 다섯 차례에 걸쳐 지역 각계 인사와 함께 울산대에 사범대를 설치해달라고 건의했으나 교육부가 전국 교사 과잉을 이유로 이를 거부하고선 울산국립대에 사범대 학과를 설치하는 것은 형평에 어긋난다”고 반발하고 있다.
또 “교육부의 구상대로 5년 안에 울산국립대를 포항공대 수준으로 만들려면 연간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해야 하는데 실제 예산이 뒷받침될지는 의문”이라며 “사립재단이 운영하는 울산대에 사범대를 설치하면 혈세 낭비를 막을 수 있는데다 공대 중심의 울산국립대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울산국립대 설립 범시민추진단은 12일 “정부와 울산시가 체결한 양해각서 내용은 대다수 울산시민들의 확고한 뜻”이라며 “울산대는 기득권 보호를 위한 근시안적인 태도를 버리고 선의의 경쟁을 통한 상호 발전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울산대가 울산국립대 사범대 설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인기 직종인 교사를 배출하는 사범대를 만들면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기 쉬운데다 전체 학교 취업률도 높아져 장기적으로 지역 선도대학으로 입지를 굳히는데 유리하다고 본 때문이다.
반면 울산국립대로선 국립대 구조조정과 맞물려 설립 자체가 불투명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2009년 개교하기로 했으나 막대한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여느 신생 대학처럼 뿌리를 내리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만약을 대비해 사범대 학과 등 인기학과를 유치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처지에 놓였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