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용 저수지 건설계획…알고보니 농지절반 아파트 터
건설교통부와 농림부, 울산시 사이에 사전 업무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한쪽에선 농업용수를 공급할 저수지를 짓고 다른 쪽에선 용수를 공급받을 논에 대규모 아파트를 짓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지게 됐다.
울산시는 북구 송정·창평동 일대 농지 262㏊(78만평)의 부족한 농업용수 확충을 위해 2007년까지 국비 47억원을 들여 달영저수지를 지을 예정이나, 이 일대 농지의 45%인 119㏊(36만평)가 이미 택지개발지구로 바뀐 사실이 최근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 그림
이 택지개발지구는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가 3448억원을 들여 2007~2010년 6400가구(1만8000여명) 입주 규모의 주거지로 개발한 뒤 주택공사 등에 분양해 임대아파트 등을 지을 예정이다.
시는 기존 농업용수원인 송정저수지(총저수량 97만t) 용수의 30% 가량이 식수로 전용돼 부족한 농업용수 47만t을 추가 확보하려 지난해 12월 국비를 지원받아 달영저수지 조성공사를 시작했으나, 용수를 공급받을 농지 대부분이 택지로 바뀌게 돼 저수지 조성사업의 타당성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결과는 울산시 농축산과와 도시개발과가 2003년 11~12월 동시에 각각 달영저수지 조성과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한 뒤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두 사업이 확정될 때까지 1년 동안 담당 부서 사이에 한 차례도 업무협의가 이뤄지지 때문에 빚어졌다. 또 달영저수지 사업비를 내려준 농림부와 택지개발을 허가한 건설교통부도 두 사업의 시행자인 농업기반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엉성한 보고만 믿고 관련된 두 사업의 모순됨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부서간 사전 업무협의를 하지 못해 난감한 상황이 빚어졌다”며 “기존 농지 외에 근처 농지 109㏊를 새로 사업구역에 포함시켜 달영저수지 사업을 정상 추진하는 방안을 농림부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