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지방의원 당선자 70% 위원 경력…“정치입지 확보에 이용” 비판
5·31 지방선거의 전북 전주지역 광역·기초의원 당선자 가운데, 70%가 학교운영위원 활동 경력이 있는데다, 절반 가량(47.2%)은 현직 학운위원으로 나타났다.
전주지역 도의원 당선자(비례대표 제외) 6명 중에서 4명, 시의원 당선자 30명(〃) 중에서 21명이 학운위원 활동 경력이 있고, 이들 중에서 김아무개 의원 등 도의원 당선자 4명 모두와 시의원 당선자 13명은 현재 학운위원을 맡고 있다.
특히 학운위원으로 활동한 시·도의원 당선자 대부분은 해당 학교의 학부모위원이 아닌 지역위원으로 참여했으며, 이런 현상은 전주 뿐만 아니라 전북지역 다른 곳도 비슷하다.
게다가 김아무개 시의원 당선자는 ㅈ·ㅅ초등교에서 지역위원으로 참여한 바 있고, ㅈ아무개 시의원 당선자도 ㅎ·ㅇ초등교 등으로 학교를 옮겨서까지 운영위원을 고집한 사례도 있다.
전주ㅅ고는 지역위원으로 참여한 학운위원 2명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7대에 이어 시·도의원에 나란히 다시 당선됐으며, 당선여부와 상관없이 지방정치에 뜻을 둔 학운위원이 많은 실정이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개인의 정치적 입지확보를 위해 학교운영위를 이용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오는 7월 말 도교육위원 선거를 앞두고 교감과 장학사 등이 학운위원으로 참여한 경우가 많아 정치성을 띤 것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지방선거 출마를 위한 단계로 인식하는 정치적 입지자들도 많은 형편”이라고 우려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초·중·고·특수학교에 설치하는 심의·자문 기구이다. 1995년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근거가 마련된 뒤 조례가 제정되면서 시행됐다. 학부모·교원·지역 인사 5~15명으로 구성된다.
전주/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