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방문한 송기인 진실화해위원장
“국가에 의해 피해를 당한 이들과 유족들의 응어러진 한을 풀어드리도록 열과 성을 다하겠습니다.”
20일 울산을 방문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송기인(67) 위원장은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학살사건과 권위주의시대 인권침해 사례 등에 대한 조사를 벌여 억울하게 피해를 당한 이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것”이라며 “이는 어두운 과거사를 정리하고 21세기 국민화합에 기여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당위성 때문에 해방 60년을 맞이한 지난해 12월 여·야 합의로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했으나 국가에 대한 불신으로 많은 유족들과 피해자들이 진실규명 신청을 꺼리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특히 울산엔 1950년 7~8월 보도연맹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870여명이 집단 학살당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유족 16명만이 진실규명 신청을 했을 정도로 관심이 낮다”며 “아무래도 유족과 피해자들이 또다른 피해를 입을까봐 신고를 꺼리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행 법은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 기간을 6년 동안 보장하고 진실규명 신청인은 어떠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보복을 자행하는 시대도 이미 지났다”면서 “가슴앓이를 하는 이들은 망설이지 말고 올 11월말까지 진실규명을 신청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어 “유족들과 피해자들의 또다른 관심사인 국가적 피해보상 방안은 진실화해위원회 권한 밖의 일이지만 국가 차원의 사과조처와 위령사업 등은 해야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가톨릭신학대에서 신학을 전공한 뒤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회장,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 민주화운동정신계승부산연대 공동대표 등을 맡는 등 70~80년대 부산 지역 재야운동 1세대의 대표 인물로 꼽힌다. 재야운동 때 그를 만났던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그를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