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까지 6천억 들여 ‘아리수’ 수질 개선
취수원 상류 이전…고도정수방식등 도입 서울시가 시의 수돗물인 ‘아리수’를 더 안전하고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고급화 계획을 추진한다. 이명박 시장은 24일 오전 경기도 남양주시 강북정수사업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2011년까지 6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 수돗물인 아리수를 고급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환경학자들이 지적하는 대로 2015년부터 전 세계 국가의 절반이 물부족에 시달려 물이 석유보다 비싼 ‘블루골드’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아리수의 원수 수질을 더 개선하고 낡은 배관 시설을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왕숙천 하류에 위치한 65만t 규모의 구의취수장을 폐쇄하고 자양취수장은 2010년까지 수질이 상대적으로 나은 강북취수장 주변으로 옮기기로 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왕숙천은 평소 수질은 괜찮지만, 비가 많이 오면 도시에 쌓인 먼지 등이 흘러들어 수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하천 주변에 우물을 설치하고 모래와 자갈을 이용해 물을 자연 여과시키는 ‘간접취수 방식’도 도입된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10억원을 들여 시범적으로 광나루지구부터 운영해 17~30t의 원수를 확보하기로 했다. 시는 이 방식을 이용하면 현재 2급수인 수돗물 원수를 1급수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정수된 물을 깨끗한 숯으로 한 번 더 걸러내는 ‘고도정수 처리방식’을 2009년 광암정수장에 시범 적용한 뒤 2011년까지 나머지 정수장에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밖에 시는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옥내 배수관이 녹슬어 수돗물의 맛과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에 따라 배수관 공사비를 일부 지원하고, 가정 배관관리를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이러한 수돗물의 생산·공급 방식을 바꾸는 방안 외에도 수질검사 항목을 121개에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수준인 145개로 확대하는 등 안전성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돗물 개선 사업에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모두 6천억원의 시 예산이 투입된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취수원 상류 이전…고도정수방식등 도입 서울시가 시의 수돗물인 ‘아리수’를 더 안전하고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고급화 계획을 추진한다. 이명박 시장은 24일 오전 경기도 남양주시 강북정수사업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2011년까지 6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 수돗물인 아리수를 고급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환경학자들이 지적하는 대로 2015년부터 전 세계 국가의 절반이 물부족에 시달려 물이 석유보다 비싼 ‘블루골드’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아리수의 원수 수질을 더 개선하고 낡은 배관 시설을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왕숙천 하류에 위치한 65만t 규모의 구의취수장을 폐쇄하고 자양취수장은 2010년까지 수질이 상대적으로 나은 강북취수장 주변으로 옮기기로 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왕숙천은 평소 수질은 괜찮지만, 비가 많이 오면 도시에 쌓인 먼지 등이 흘러들어 수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하천 주변에 우물을 설치하고 모래와 자갈을 이용해 물을 자연 여과시키는 ‘간접취수 방식’도 도입된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10억원을 들여 시범적으로 광나루지구부터 운영해 17~30t의 원수를 확보하기로 했다. 시는 이 방식을 이용하면 현재 2급수인 수돗물 원수를 1급수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정수된 물을 깨끗한 숯으로 한 번 더 걸러내는 ‘고도정수 처리방식’을 2009년 광암정수장에 시범 적용한 뒤 2011년까지 나머지 정수장에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밖에 시는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옥내 배수관이 녹슬어 수돗물의 맛과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에 따라 배수관 공사비를 일부 지원하고, 가정 배관관리를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이러한 수돗물의 생산·공급 방식을 바꾸는 방안 외에도 수질검사 항목을 121개에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수준인 145개로 확대하는 등 안전성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돗물 개선 사업에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모두 6천억원의 시 예산이 투입된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