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당선자 “팔당호 수질개선 위해 추진” 발표
2년전 8억들인 용역보고서는 “효과 없다” 결론내려
2년전 8억들인 용역보고서는 “효과 없다” 결론내려
김문수 경기지사 당선자가 수도권 2300만 명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 상수원을 1급수로 만들기 위한 대책으로 경안천 하류 준설 계획을 26일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경기도가 이미 2년 전 8억6천만원을 들여 자체 용역을 벌여 수질개선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던 것으로 드러나 추진 과정에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팔당호 수질개선 위해 경안천 하류 준설한다?=김 당선자는 이날 팔당호를 방문해 “오는 2010년까지 1조5천억 원을 들여 양평·가평 등 팔당특별대책지역 7개 시·군 하수도 보급률을 현재 61%에서 90%로 올리고 827억 원을 들여 농촌지역 77곳에 마을단위의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김 당선자는 특히 경안천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하류지역인 서하보∼광동교 구간 4㎞에 대해 1천억 원을 들여서 준설작업을 하고 이를 위해 3억 원을 들여 타당성 조사를 벌이겠다고 덧붙였다. 김 당선자 도정 인수위 관계자는 “각종 경안천 하류지역에 각종 오염물질이 퇴적돼 팔당호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인수위쪽은 이 구간 하천 바닥에 10㎝에서 4m에 이르는 두께로 각종 오염물질이 510만t가량 퇴적됐으며 각종 수질오염치가 기준치 보다 400∼2만 배나 초과해 정부에 준설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수질개선 효과 논란=그러나 경기도가 지난 2004년 8억5천만원을 들여 경기개발연구원에 맡긴 ‘팔당 상수원 수질 개선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용역보고서는 “경안천을 준설해도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조건이 바뀌지 않는 한 수질개선 효과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보고서는 “팔당호 전체 14곳에 대한 준설을 검토한 결과 경안천 하류를 빼고 수질개선 효과가 적다”며 “경안천의 경우 하류로 내려갈수록 수질상태가 나빠지지 않았는데 이는 경안천 하류의 퇴적물이 수질에 큰 영향을 안 준다는 의미”라고 결론지었다.
방세환 전 ‘경안천 시민연대’ 사무국장은 “팔당 수계 중 경안천 수량은 1.5% 정도이고 남한강 54%, 북한강 45%”라며 “남·북한강 물이 팔당댐에 막혀 역류하면서 경안천에 퇴적물을 남기는 호수의 특징을 이해한 뒤 준설을 논의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흡입식으로 준설해도 경기지역 광역상수도 취수원이 인접한 만큼 피해가 가지 않는 기술적 검토도 필요하며, 국가하천이기 때문에 환경부 동의도 문제”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