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 공약사업 추진에 반색
학계 “팔당호 수질개선 효과 미흡”
학계 “팔당호 수질개선 효과 미흡”
팔당호 수질 개선을 위해 경기도가 추진중인 경안천 하류 준설계획의 실효성을 놓고 논란(〈한겨레〉 6월27일치 14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14일과 19일 2차례 걸쳐 전문가들을 불러 김문수 경기지사의 선거공약이기도 한 ‘경안천 퇴적물 준설 관련 간담회’를 열었으나 준설 계획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19일 경기도청 간담회에서 준설에 적극 찬성한 쪽은 건설업계였다. 현대산업개발 토목사업부 정호희 상무는 “과거 반포천, 마포대교 일대의 한강 준설에 성공해 물이 많이 깨끗해졌다”며 “경안천도 종합적 준비를 거쳐 준설한다며 훨씬 깨끗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학계 등 나머지 전문가들은 사실상 준설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물환경연구소’ 공동수 소장은 “팔당호의 경우 73년 지어진 뒤 1년에 10㎝씩 최고 3m 가량 퇴적물이 쌓여 있다”며 “일부 준설에 찬성하는 전문가들은 퇴적물 상단만 흡입하면 된다고 하는데 그래봐야 소용이 없다”고 준설에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공 소장은 “결론은 팔당호 호수 내부의 문제라기보다 오염도가 훨씬 큰 농약 배설물 등이 (팔당호로) 흘러들어가는 외부 환경이 문제”라고 말했다.
강원대 전상호 교수는 “강원도 경포호는 준설을 하고 난 뒤 고기떼가 죽어 올라왔다”며 “오염퇴적물을 빼낸다고 준설했지만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이건희 경기도의원은 “경안천 준설에는 일단 반대한다”며 “준설을 하더라도 용인부터 계속 흐르는 경안천에는 퇴적물이 쌓일 수밖에 없으며 하천변에 수생식물을 심어 놓고 자연 정화하는 방법이 더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특히 경기도가 신도시와 뉴타운 등의 각종 개발사업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 팔당호 대책을 추진한다거나 경기도가 도지사의 공약인 만큼 준설을 결정해놓고 요식 절차만 거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