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승인방침에 부산시·일부동문 반발
‘신설’ 또는 ‘역외대학 이전’을 놓고 논란을 빚던 울산국립대 유치 문제가 정부의 한국해양대 이전안을 울산시가 받아들임으로써 한 고비를 넘겼으나, 부산의 해양대 이전 반대여론에다 이전 범위에 관해서도 논란의 소지가 커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박맹우 울산시장 등 각계 대표들로 꾸려진 울산시 국립대학 설립준비위는 최근 울산국립대 신설뿐만 아니라 2월16일 정부가 울산시에 통보한 한국해양대 울산 이전 방침도 받아들여 정부와 본격 협의하기로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60여만명의 서명을 받아 울산국립대 설립 청원서를 국회 등에 냈던 울산시 국립대학 설립 범시민추진단도 최근 ‘4월까지 한국해양대 이전 합의가 도출되지 않으면, 정부가 바로 신설 방침을 확정할 것’ 등 5가지 조건을 내세워 이전안을 수용했다.
그동안 준비위와 범시민추진단은 지난해 8월 노무현 대통령의 울산국립대 설립 약속 이후 줄곧 “이전을 통한 대학 설립은 이전 반대운동 등 장애물이 많아 실현가능성이 적다”며 신설을 주장해왔다.
이로써 정부와 울산시, 한국해양대 사이에 구체적인 이전 방안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나, 부산시와 해양대가 있는 영도구, 일부 졸업생 및 교직원들의 역외 이전 반대여론도 만만찮아 대학 쪽이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해양대 쪽은 “울산에 이전하는 게 아니고 부산·울산에 두 캠퍼스를 유지하는 것”이라며 “해양 관련 핵심 학부는 부산에 남고, 울산캠퍼스는 보조 기능을 맡는다”며 지역여론 무마에 나섰다.
하지만, 해양대 쪽의 이런 설명에 대해 부산시 쪽은 “전체 정원의 3분의 2가 울산캠퍼스로 넘어가게 돼 있어, 결국 대학본부까지 울산으로 옮아가게 될 것”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울산시 쪽도 “대학본부를 옮기지 않는다면 이는 진정한 대학 이전이 아니다”라며 “가뜩이나 신설 여론을 무마하고 해양대 이전 쪽으로 지역여론의 가닥을 잡았는데, 국립대 유치 논란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부산 영도구와 구의회는 28일 구청 대강당에서 주민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대의 울산 이전에 반대하는 성명서와 결의문을 발표하고, 지역 주민의 동의 없는 이전안 철회를 촉구했다.
부산·울산/신동명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부산·울산/신동명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