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원지동 화장장’ 유치 조건 빅딜 논란
경기 하남시가 서울 강남구 원지동 화장장을 유치하는 조건으로 지하철 유치를 추진해온 것으로 드러나 국정감사에서 논란을 빚었다.
16일 경기도는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하철-화장장 빅딜에 대해 “주민 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장사시설을 서로 활용하기 위해 서울시와 논의된 사항”이라고 밝혔다. 하남시는 이에앞서 개발제한구역 20만~30만평에 화장로 16기 규모로 경기도민을 위한 광역화장장을 지을 계획이었다. 하남시는 화장장을 유치한 인센티브로 경기도로부터 2천억원을 받게 된다. 하남시는 이를 강동구 상일동~하남시 신장동 6.5km 구간의 지하철 5호선 연장 공사에 투입할 계획이다. 하남시는 지하철을 완전 지하화하면 7500억원이 들지만 일부 구간 지상화를 하면 45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빅딜’은 하남시가 광역화장장에 추가로 서울시민을 위한 화장로를 건설하는 대신 서울시가 하남시에 모자란 지하철 건설 비용을 대준다는 내용이다.
이에대해 서울시 권영진 정무부시장은 “9월초께 김황식 하남시장이 지하철-화장장 빅딜을 제의했으나 원지동 추모공원이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으며 하남시까지 지하철 5호선을 연장하는 비용도 너무 비싸서 내부적으로는 빅딜을 접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빅딜논란이 불거지자 김황식 하남시장은 이를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김 시장은 이날 하남시의회 임시회에서 “오는 2008년 광역화장장 공사를 시작할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용역과 주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마무리하겠지만 서울시 쪽에서 2천억원을 받고 화장장을 유치한다는 것은 사실무근이고 협의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문학진 열린우리당 의원은 “그린벨트가 86%인 하남시에서 혐오시설과 지하철의 빅딜과 같은 중대한 문제를 주민의사를 무시한 채 밀실에서 강행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논의 중단을 요구했다.
수원 하남/홍용덕 김기성, 이유주현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