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업계가 경영적자 심화를 이유로 지난 2월부터 시행해온 준공영제를 거부하기로 했다.
대구 29개 시내버스 대표들은 지난 21일 모임을 열어 준공영제의 표준운송원가 책정이 잘못돼 엄청난 손해를 보고 있다며 준공영제를 거부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들은 “표준운송원가의 유류비, 인건비, 각종 관리비 등이 비현실적으로 책정돼 있다”고 주장했다. 최준 대구시내버스조합 이사장은 “준공영제 이후 10개월만에 회사마다 5억~7억원씩 적자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표준운송원가는 회계사, 변호사, 시민단체 등 전문가들로 이뤄진 심의위에서 결정한다“며 ”적자가 심하다는 버스회사 쪽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구시는 올해 버스 요금수입을 29개사에 배분한 뒤 부족한 재원 445억원을 시 예산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구대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