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출생아 감소 여전…“보육정책 병행해야 효과”
충북지역 자치단체에서 출산율을 높여 인구를 늘리려고 출산 지원금·용품 지원 등 각종 출산 장려 시책을 쓰고 있지만 해마다 출생아가 줄어드는 등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충북지역은 청원군이 2003년 신생아에게 35만원어치의 출산 육아 용품을 지원한 데 이어 모든 시·군이 출산 장려 시책을 펴고있다.
시·군은 △출산 지원금 지급△출산 용품지원△임신부 영양제 공급△양육·보육료 지원△건강보험 가입△신생아 도우미제 운영 등 다양한 출산장려시책을 쓰고 있다.
올해 청주시는 출산 지원금으로 21억4100만원을 썼으며, 청원군은 출산 용품 지원 등으로 2억2600여만원, 증평군은 건강보험 가입 등으로 2억1천여만원, 충주시는 출산 지원금 등으로 1억6천여만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해마다 시·군의 출생아가 줄어드는 등 시책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청주시는 2004년 6713명이 출생했으나 2005년 5904명으로 줄더니 올해는 9월말까지 4717명이 태어나는데 그쳤다.
충주시는 2003년 1867명, 2004년 1711명, 2005년 1499명에 이어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1200명에 그쳤다.
청원군은 2003년 1445명, 2004년 1203명, 2005년 1167명에 이어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1064명에 그치는 등 해마다 출생아 수가 줄고 있다.
청주, 청원은 충북지역에서 인구가 느는 자치단체이지만 출생아는 계속 줄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충북도가 내년 시·군에 출산장려금 38억6천여만만원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충북지역 자치단체는 출산장려시책을 크게 확대하기로 했다. 청원군 보건소 반순환씨는 “이제까지 출산 추이를 보면 출산지원책 때문에 아이를 낳지는 않는 것 같다”며 “출산지원책에 보육·양육 정책까지 합쳐지면 점점 좋은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청주, 청원은 충북지역에서 인구가 느는 자치단체이지만 출생아는 계속 줄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충북도가 내년 시·군에 출산장려금 38억6천여만만원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충북지역 자치단체는 출산장려시책을 크게 확대하기로 했다. 청원군 보건소 반순환씨는 “이제까지 출산 추이를 보면 출산지원책 때문에 아이를 낳지는 않는 것 같다”며 “출산지원책에 보육·양육 정책까지 합쳐지면 점점 좋은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