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결될 것으로 전망됐던(<한겨레> 2006년 12월29일치 16면)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주야간 2교대 근무제 도입이 노조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됐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3일 노조원 696명을 대상으로 9시간 맞교대 도입을 두고 찬반투표를 벌인 결과, 참가자 680명 중에서 찬성 293표, 반대 376표, 무효 11표로 과반수 찬성을 얻는데 실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사는 재협상에 들어가야할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현대차 전주공장 노사는 지난해 12월27일, 주야간 9시간 맞교대 도입에 잠정 합의했으나, 이날 합의안에 대한 노조원의 과반수 찬성을 얻지 못했다. 이로써 지난해 5월부터 7개월 넘게 협상을 진행한 현대차 전주공장의 주야간 2교대 근무제 도입은 원점으로 돌아갔다.
버스와 트럭 등 상용차를 생산하는 현대차 전주공장은 해마다 늘어나는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인력운용 시스템을 현행 주간체제에서 주야간 2교대로 전환하는 방안을 두고 노사 협상을 벌여왔다. 그러나 근로환경 악화를 우려한 노조 쪽의 반대로 협상에 난항을 겪었다.
한편, 전북도 등이 최근 현대차 문제가 마치 타결된 것처럼 대형 애드벌룬과 펼침막을 내걸어 환영분위기를 조성한 것을 놓고 비판적인 지적도 나왔다.
김영기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행정에서 지역경제 살리기를 위해 신경쓰는 일은 이해하나, 단일 사업장 노사문제에 외부에서 개입하는 것은 월권행위”라며 “건강한 노사문화 정착을 위해 강제적인 외압 보다는 자율협상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