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직급정년·연구실적 강화도
서거석 총장 체제로 바뀐 전북대학교가 국내 10위권 대학 진입을 내세우며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전북대는 논문 표절을 비롯한 교수들의 연구부정 행위를 자체적으로 조사해 차단하는 상설기구를 세웠다고 8일 밝혔다.
신설된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위원장을 기획처장이 맡고 최대 10명의 교수가 위원으로 참가해 교수와 직원들의 연구관련 부정행위를 조사한다. 대상은 △논문 표절 또는 저자 표시를 부당하게 하거나 △연구결과 조작 △존재하지 않는 연구결과를 허위로 발표하는 행위다.
위원회는 부정한 행위로 조사결과가 나오면 총장에게 해당자의 징계를 권고하기로 했다.
전북대는 또 교수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직급정년제를 두고 일정 기간 안에 승진하지 못하는 교수를 퇴출하는 방안 등을 추진 중이다.
최근 발표한 ‘교육·연구 경쟁력 강화방안’은 전북대에서 강의를 맡은 부교수가 9년 안에 교수로 승진하지 못하면 재임용 받지 못하는 형식으로 퇴출당한다. 조교수는 7년 안에 부교수로 승진해야 재임용을 받고, 전임강사도 3년 안에 조교수로 올라야 한다.
특히 전임강사 이상 900여명 교수 중에서 60%에 해당하는 정년이 보장됐던 교수(정교수)도 올해부터 2년 기준으로 인문사회계는 최소 100%, 자연계는 140%(1인 연구 100%, 2인 70%, 3인 50%, 4인 이상 30%)를 넘는 연구실적을 내야한다.
유철중 교무부처장은 “교수들의 단독 논문기준을 두배 이상 강화하는 등 대학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