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위 “현재 41%만 반대”
주민회유 절차 되돌려 비판
주민회유 절차 되돌려 비판
주민 다수가 한옥 등 지역 특성을 살린 개발을 요구함에 따라 보류됐던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6가의 싹쓸이 재개발이 다시 추진돼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한겨레> 13일치 2면)
서울 성북구 의회(의장 이감종)는 지난 13일 열린 도시건설위원회에서 동소문동 6가 일대 주택재개발구역 지정안을 통과시킨 뒤, 이를 20일 구 의회 본회의에서 다루기로 했다. 김중겸 성북구 도시개발과장은 “1~2월 주민공람 때 반대했던 주민 가운데 23명이 찬성으로 돌아서 반대주민이 41%뿐이라는 내용을 재개발추진위가 제출해 이를 구와 의회에서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이 지정안이 구 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성북구는 서울시에 재개발구역 지정을 요청하게 되며, 서울시는 도시건축공동심의위원회를 열어 검토한 뒤 시장이 최종 결정한다. 이 지역의 토지 등 소유자는 208명이며, 주민공람 때는 109명(52.4%)이 재개발에 반대한 바 있다. 그러나 성북구는 주민공람 뒤 재개발추진위가 반대 주민 23명을 찬성으로 돌려놓아 현재 반대주민은 86명(41.3%)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지난번 주민공람 때 52.4%의 반대로 이 재개발구역 지정안을 보류시켰던 주민들은 이번 성북구·의회의 처리에 문제가 크다고 비판했다. 재개발반대 주민모임의 피터 바솔로뮤는 “공식 절차인 주민공람에서 재개발구역 지정안이 부결된 것으로 끝났는데, 재개발추진위가 일부 주민들을 회유해 절차를 되돌리고 있다”며 “우리가 반대하는 주민 비율을 다시 50% 이상으로 만들면 재개발을 중단할 것이냐”고 물었다.
이병규 반대 주민모임 대표도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려면 찬성하는 주민이 과반수가 돼야 하는데, 성북구와 의회는 ‘반대하는 주민 86명(41%) 외에 대부분 찬성’이라고 주장한다”며 “찬성자가 누구인지, 몇 명인지부터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 등 반대주민들은 16일 이감종 성북구 의장을 만나 이런 뜻을 전달했고, 서찬교 구청장에게도 면담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감종 성북구 의장은 “반대주민 숫자가 41%로 확인되므로 찬성하는 주민을 과반수로 보고 있다”며 “재개발 구역 지정은 사실상 주민들이 결정하는 문제여서 요건이 되면 구 의회로서는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