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등 사칭해 피해 잇따라
노인들의 쌈짓돈을 노리는 사기행각 피해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울산 남구 야음동에 사는 이아무개(68·여)씨는 이달 초 30대 남성이 “한국가스안전공사 직원인데 안전점검을 나왔다”고 해 문을 열어줬다. 이 남성은 가스안전공사 직원 점퍼차림으로 이씨 집의 가스레인지 등을 둘러본 뒤 “가스레인지가 낡아 사고위험이 높으니 즉시 교체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이씨는 그에게 20만원을 주고 가스레인지를 샀으나 이 가스레인지는 시중에서 7만~8만원이면 살 수 있는 제품이었다.
14일 오후 1시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이아무개(77·여·남구 야음동)씨 집에 ‘시청 사회복지과에 근무하는 직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40대 남자가 찾아왔다. 그는 “호적을 보니 자녀들이 있어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이 안되니 재신청을 해야 한다”며 이씨한테서 3만원을 받아 가로챘다. 울산에선 지난달과 이달 들어 이런 사례가 구청에 20여건이나 접수됐다. 공짜 또는 저렴한 비용의 관광을 제공한 뒤 현지에서 값비싼 물품을 판매하는 고전적인 수법도 여전하다.
조아무개(70·여·남구 신정동)씨는 최근 1만원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 유물관과 온천관광을 할 수 있다는 말을 믿고 관광 길에 나섰다가 낭패를 당했다. 관광업체가 30만원 상당의 흑삼을 강매한 것이다. 조씨는 얼떨결에 흑삼을 구입한 뒤 집에 돌아와 취소하려고 했지만 업체 쪽은 계약위반이라며 막무가내로 물품대금을 요구했다.
울산여자기독교청년회 소비자보호센터 엄미숙 팀장은 “노인들은 정보의 사각지대에 있는데다 정에 끌려 거절을 하지 못하고 쉽게 사기를 당한다”며 “가족과 자치단체 등에서 사전 교육을 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