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비정규직법 시행 앞두고
충북지역 노동계에서 7월 비정규직 관련법 시행을 앞두고 대량 해고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술렁이고 있다.
비정규직을 2년 이상 고용하면 ‘고용기한이 없는 고용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는 법률이 시행 되는 7월 전에 직원들을 해고하거나 노동계약 조건을 낮추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해고 괴담홈에버 청주점 노동자 사이에서는 7월 이전에 비정규직 노동자 35명이 해고될 것이라는 ‘비정규 괴담’이 돌고 있다.
양승준 홈에버 청주점 분회장은 “지난 1일 청주점 청소 용역 노동자 7명이 일자리를 잃은 데 이어 비정규법안을 피해가려고 35명을 해고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청주점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은 불안 때문에 밤잠을 자지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홈에버 청주점 유혜연 과장은 “청주점은 최소의 인원(161명)으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해고 계획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김경욱 홈에버 노조위원장은 “청주지점장이 각 부서장에게 보낸 자료를 입수해 검토했더니 청주점에서 시간제 노동자 35명의 인건비 3500만원을 절감하는 것으로 돼 있다”며 “이 자료가 청주점의 해고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 불안=청주대 청소 용역 노동자 10여명은 17일 오전 본관 앞에서 고용 안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회견문에서 “법정 최저 임금에 턱걸이하는 임금을 받으면서 10년 가까이 청주대에 봉사해 왔는데 다음달 계약에 따라 쫓겨 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며 “업체 선정과 상관없이 청주대가 고용을 보장해 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청주대는 6월께 청소 용역 업체를 입찰을 통해 선정한 뒤 이들 업체들이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형식으로 학교 청소 등을 맡겨 왔다. 청주대 남상구 시설관리팀장은 “입찰에 나선 업체들에게 노동자들의 고용을 강요하거나 문서화 할 수는 없다”며 “최적의 면학 분위기를 만드는 차원에서 관련 직원들과 협의한 뒤 용역 선정 업체에 고용을 권고하는 것을 검토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청주대는 6월께 청소 용역 업체를 입찰을 통해 선정한 뒤 이들 업체들이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형식으로 학교 청소 등을 맡겨 왔다. 청주대 남상구 시설관리팀장은 “입찰에 나선 업체들에게 노동자들의 고용을 강요하거나 문서화 할 수는 없다”며 “최적의 면학 분위기를 만드는 차원에서 관련 직원들과 협의한 뒤 용역 선정 업체에 고용을 권고하는 것을 검토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