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국립공원 안 남산제일봉 탐방로 주변 모습. 등산객들이 탐방로 대신 산사태를 막기 위해 사방공사를 한 곳을 밟고 다니는 바람에 공사구간이 무너져 내리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등산객에…도로확장에…
가야산 남산제일봉
자연휴식년 미진해 훼손 빨라 환경운동단체들이 가야산국립공원 안에 있는 남산제일봉의 탐방객 수 제한을 주장하고 나섰다. 대구환경운동연합과 마창환경운동연합은 4일 경남도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남산제일봉에 탐방예약제를 실시해 입장객을 통제하자고 제안했다. 이들은 지난달 치인리 집단시설지구~남산제일봉~청량사 구간 탐방로에서 식물상을 조사해 90과 250속 51변종 4품목 등 409종류의 식물상 목록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흰참꽃, 태백제비꽃, 백리향, 금마타리 서식처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들은 1972년 가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조사 구간은 자연휴식년제 혜택을 받지 못해, 등산로의 너비가 갈수록 넓어지고 땅이 다져지는 등 환경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남산제일봉의 자연환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평일 100명, 휴일 300명 정도로 입장객 수를 제한하고, 주요 정상과 능선은 전면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자연휴식년제 시행 기간의 연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기간 조사도 제안했다. 문창식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은 “인위적으로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는데는 자연치유법이 가장 좋다고 본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립공원 탐방로 개념을 이용 중심에서 보존 중심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산제일봉은 가야산 남쪽에 있는 해발 1010m의 산으로 매화산, 천불산 등으로도 불린다. 해인사는 가야산 보호를 위해 지난달 초 철조망을 설치해 청량사에서 남산제일봉에 이르는 1.9㎞의 등산로를 폐쇄한데 이어, 이달 중순 해인사관광호텔에서 남산제일봉까지 2.6㎞의 등산로를 추가로 폐쇄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일부 등산객들과 상인들이 반발하고 있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 가야산사무소는 자연공원법 위반 혐의로 해인사 쪽을 경찰에 고발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영남알프스를 이루는 높이 1000m 이상 산 7곳 가운데 하나인 재약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사자평. 울산시 제공
영남알프스
등산로 5~6km 확장·포장 계획 논란 울산 울주군이 영남알프스의 차량 진입로 격인 상북면 이천리 배내골에서 제약산으로 연결되는 등산로를 넓힌 뒤 도로포장까지 하기로 하자 현지 주민들과 산악인들이 반발하고 있다. 울주군은 4일 현재 1억원을 들여 맡긴 설계용역 결과가 나오면 갤로퍼 등 4륜 구동 차량을 빼고는 일반 승용차의 접근이 어려운 상북면 이천리 배내골과 재약산(1119m) 사자평을 연결하는 기존 등산로 5~6㎞(너비 6m)를 50여억원을 들여 확·포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곳은 재약산을 비롯해 취서산 신불산 등 높이 1000m가 넘는 7개의 봉우리가 경남·북의 경계에 한데 모여 있어 산악인들이 영남알프스라고 부르는 대표적인 산악지역 가운데 하나다. 군은 이 등산로를 넓힌 뒤 포장을 하면 관광객들의 사자평 진입이 쉬워지는데다, 2004년부터 민간자본을 유치하려 했으나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 사자평 근처 사유지 목장 터 6만여평을 포함한 7만6000평에 관광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동원 울주군 관광개발계장은 “관광단지는 생태·승마·몽골텐트체험장과 파크골프장 등 친환경 생태관광지로 개발할 예정이며, 사자평 진입로를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확·포장하는 것이므로 환경 파괴의 우려는 작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상북면 이천리 청년회 등 지역주민들은 “지금도 일부 몰지각한 이들이 차량을 사자평까지 마구 몰고와 질주하는 바람에 주변 습지 등을 훼손시키고 있는 상황인데 등산로를 확·포장하면 환경이 훼손 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라며 주말마다 등산객을 상대로 등산로 확·포장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정종옥 울주군 상북면 청년회장은 “울주 7봉의 중심인 사자평 일대에 차량 진입로가 개설되면 인근 다른 산의 환경 파괴도 시간 문제”라며 “목장 터 소유자를 위해 군이 무리하게 도로 확·포장을 강행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