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미국 참여 타진중” 발굴 계약조차 안해
한국전쟁때 대표적인 민간인 학살지역으로 꼽히는 노근리사건의 유해 발굴이 행정 절차 등의 이유로 더뎌지고 있다.
유해 발굴을 추진하고 있는 영동군은 지난 8일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박선주 교수팀에 맡겨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쌍굴다리 근처에서 지표조사를 해 유력한 매장지를 파악했지만 발굴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군은 6~7월 안에 발굴을 마무리하려 했지만 발굴 계약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군 노근리대책지원담당관실 김현정씨는 11일 “미국쪽의 참여 여부를 타진하느라 시간이 흐른데다 행정 절차 등의 이유로 유해 발굴 계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공개입찰·수의계약 등 계약 방법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도 노근리실무지원단 정태운 단장은 “장마철 유해 발굴과, 발굴한 유해 보관 등의 문제 때문에 발굴 시기를 늦추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해발굴이 더뎌지면서 속이 타는 것은 유족회 쪽이다.
정구도(52)노근리 사건 희생자 유족회 부회장은 “빠른 진상규명을 위해 유해 발굴을 서둘러 달라고 거듭 요구했지만 차일피일 미뤄져 답답하다”며 “곧 장마가 시작될 텐데 발굴이 제대로 이뤄질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표조사 결과 보고서와 유해 발굴 신청서를 낸 박 교수팀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박 교수는 “매장 추정지 5곳 가운데 유력 매장 추정지 2곳 정도를 추려 곧바로 발굴할 수 있는데 군의 결정이 없어 안타깝다”며 “빠르면 7월께나 돼야 발굴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장마를 만나면 비닐 천막을 치고서라도 발굴을 해야겠지만, 유해 보관·발굴지 보안 등의 문제 때문에 발굴이 늦어지면 늦어 질 수록 어려워 진다”고 덧붙였다. 도와 군은 ‘노근리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위원회’를 통해 발굴 예산 2억원을 마련해 유해 발굴을 추진하고 있으며, 발굴된 유해는 2009년 12월께까지 노근리 쌍굴 다리 근처 12만㎡에 조성 되는 노근리 역사 공원 옆 합동 묘역에 안치할 참이다. 글·사진/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박 교수는 “매장 추정지 5곳 가운데 유력 매장 추정지 2곳 정도를 추려 곧바로 발굴할 수 있는데 군의 결정이 없어 안타깝다”며 “빠르면 7월께나 돼야 발굴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장마를 만나면 비닐 천막을 치고서라도 발굴을 해야겠지만, 유해 보관·발굴지 보안 등의 문제 때문에 발굴이 늦어지면 늦어 질 수록 어려워 진다”고 덧붙였다. 도와 군은 ‘노근리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위원회’를 통해 발굴 예산 2억원을 마련해 유해 발굴을 추진하고 있으며, 발굴된 유해는 2009년 12월께까지 노근리 쌍굴 다리 근처 12만㎡에 조성 되는 노근리 역사 공원 옆 합동 묘역에 안치할 참이다. 글·사진/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