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내 성지옆 골프장’ 건설
[클릭!현장속으로] ‘미리내 성지옆 골프장’ 건설
경기 안성의 미산골프장 건설계획에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이 전체 27개홀 가운데 녹지자연도가 뛰어난 16개홀을 보전토록했다. 이에 따라 환경훼손 여부를 놓고 4년째 천주교 수원교구와 골프장 건설업체가 맞서온 골프장 건설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골프장 예정지 환경성 높다’=한강유역환경청은 11일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미산컨트리클럽 건설에 따른 사전환경성을 검토한 결과, “골프장 조성시 과다한 지형훼손 등 자연환경의 훼손이 예상돼 대폭적인 사업계획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이에 따라 회원제 골프장 12개홀과 대중골프장 2개홀 예정지는 보전방안을 마련하고, 대중골프장 2개홀은 사업예정지에서 아예 제외시키도록 했다. 이번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이 맡아 미산골프장(109만㎡)의 회원제 골프장(18개홀)과 대중골프장(9개홀) 예정지 일대 산림에서 이뤄졌다. 환강유역환경청은 또 “골프장 예정지역의 활엽수림이 울창해 절대보전해야 할 녹지자연도 8등급지도 있고 사업지역내 북방산개구리와 도룡뇽 등의 분포에 대해서도 전면 재조사를 벌여야한다”고 밝혔다. 한강유역관리청은 2003년과 2004년에 2번에 걸쳐 골프장 건설에 ‘부동의’를 한 바 있다.
14홀 ‘녹지보전 필요’…2홀은 ‘예정지서 제외’
천주교, 개발계획 백지화 요구…안성시 압박 건설 전망은?=일단은 환경훼손 가능성이 높다는 한강유역환경청의 의견으로 골프장 건설계획이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경기도 홍귀선 지역계획 담당은 “이번에 나온 사전환경성 검토 의견을 안성시에 보내 골프장 건설업체 쪽과 다시 사업을 조정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천주교 쪽은 그러나 “안성시가 낸 사전환경성 검토보고서에 8등급지가 빠지는 등 문제가 발견된 만큼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며 고삐를 죄고 있다. 가톨릭 수원교구 생명환경연합 정준교 사무처장 “현실적으로 이 정도의 환경훼손 우려가 제기됐다면 경기도가 골프장 개발계획을 중지시키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어떻게 진행돼왔나=경기 안성시는 올해 1월4일 미산골프장 쪽이 골프장 건설 사업 신청을 해옴에 따라 경기도에 골프장 조성을 위한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신청을 냈다. 농림지역과 준도시지역인 골프장 예정지를 개발이 가능한 계획관리지역으로 바꿔달라는 것으로, 결정권은 경기도지사에게 있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환경부 등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해왔다. 이에 앞서 미산골프장 쪽은 지난해 6월5일 골프장 조성을 막은 천주교 수원교구를 상대로 95억원의 소송을 내는 등 골프장 건설을 놓고 양쪽이 팽팽히 맞서왔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천주교, 개발계획 백지화 요구…안성시 압박 건설 전망은?=일단은 환경훼손 가능성이 높다는 한강유역환경청의 의견으로 골프장 건설계획이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경기도 홍귀선 지역계획 담당은 “이번에 나온 사전환경성 검토 의견을 안성시에 보내 골프장 건설업체 쪽과 다시 사업을 조정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천주교 쪽은 그러나 “안성시가 낸 사전환경성 검토보고서에 8등급지가 빠지는 등 문제가 발견된 만큼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며 고삐를 죄고 있다. 가톨릭 수원교구 생명환경연합 정준교 사무처장 “현실적으로 이 정도의 환경훼손 우려가 제기됐다면 경기도가 골프장 개발계획을 중지시키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어떻게 진행돼왔나=경기 안성시는 올해 1월4일 미산골프장 쪽이 골프장 건설 사업 신청을 해옴에 따라 경기도에 골프장 조성을 위한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신청을 냈다. 농림지역과 준도시지역인 골프장 예정지를 개발이 가능한 계획관리지역으로 바꿔달라는 것으로, 결정권은 경기도지사에게 있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환경부 등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해왔다. 이에 앞서 미산골프장 쪽은 지난해 6월5일 골프장 조성을 막은 천주교 수원교구를 상대로 95억원의 소송을 내는 등 골프장 건설을 놓고 양쪽이 팽팽히 맞서왔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