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등이 제기해 충북도의회가 추진한 충북도 정실·낙하산 인사 의혹 검증이 사실상 무산됐다.
충북도의회는 18일 인사검증 추진을 위한 행정사무조사계획서 재의 요구안 표결에서 찬성 11, 반대 19, 기권 1표 등으로 반대 의결했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이필용·46·한나라)가 낸 인사검증 계획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인사 검증을 추진한 이 위원장은 “집행부를 감시하기보다 집행부와 정우택 지사의 방패막이 구실을 한 의원들이 많은 이상 8대 도의회는 사망선고를 받은 셈”이라며 “감사원 감사 청구, 수정계획서 제출 등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반대표를 던진 정윤숙(51·한나라)의원은 “검증을 막은 게 아니라 법·원칙의 테두리를 넘어선 행자위의 잘못을 지적한 것”이라고 맞섰다.
표결은 재적의원(31명)과반 출석에 출석의원 3분의 2이상이 찬성하면 가결돼 27명이 점유한 한나라당 의원들의 향배가 결정적이었다.
이에 따라 일찌감치 당내 유력 경선 후보인 이명박·박근혜 후보 지지 의원들의 세 대결이나, 이 후보 충북경선대책위 총괄본부장을 맡은 오장세 도의장과 박 후보 쪽에 가까운 정 지사 쪽의 대리전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반대 의원 대표 토론을 한 정 의원 등 18명이 지난 13일 박 후보 지지 선언을 하면서 ‘박근혜+정우택 조’가 인사검증 표결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18일 표결에서는 공교롭게 18대 11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무소속 김환동(57)의원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때문에 도 의회의 책임인 집행부 견제를 무산시킨 것은 의원이기를 포기한 행위”라며 “인사검증이 한나라당 후보 경선 세 대결에 묻힌 꼴이 됐다”고 말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송재봉 사무처장도 “18대 11이라는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며 “도민의 뜻보다 경선 후보의 뜻에 줄을 선 의원들의 자질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무소속 김환동(57)의원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때문에 도 의회의 책임인 집행부 견제를 무산시킨 것은 의원이기를 포기한 행위”라며 “인사검증이 한나라당 후보 경선 세 대결에 묻힌 꼴이 됐다”고 말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송재봉 사무처장도 “18대 11이라는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며 “도민의 뜻보다 경선 후보의 뜻에 줄을 선 의원들의 자질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