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단체 회원들 버스로 날라…‘순수성’ 논란
먼저 집회 신고한 현대자동차는 장소 내줘
먼저 집회 신고한 현대자동차는 장소 내줘
지난달 25~29일 한-미자유무역협정에 반대하며 부분파업을 벌인 금속노조를 비난하는데 앞장선 ‘행복도시 울산만들기 범시민협의회’(행울협)가 먼저 집회를 신고한 회사 쪽의 양해를 받고 파업 반대 집회를 열면서 노인들과 대학생들을 조직적으로 집회에 참여시킨 것으로 2일 드러났다.
울산상공회의소 등 지역 140개 단체가 올 3월 만든 행울협은 지난달 28~29일 10시간 부분파업을 벌일 예정이던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규탄 시위를 26일 오후 3~5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앞에서 벌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2일 ‘안전사고예방 캠페인’ 이름으로 22~27일 울산공장 출입문 6곳의 집회 허가를 먼저 받아둔 현대자동차 쪽에 ‘26~27일 집회신고를 취소해 달라’고 요청했다.
회사 쪽은 이 요청을 받아들여 지난달 22일 오후 3시 울산 동부·중부경찰서에 26~27일 오후 3~5시 집회의 취소장을 냈다. 이어 같은날 오후 3시30분 행울협은 26~27일 오후 3~5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출입문 3곳의 집회신고서를 낸 뒤 26일 오후 3시 파업 반대 집회를 열었다.
행울협은 또 26일 오전 10시30분~오후 2시30분 남구 종하체육관에서 열린 ‘6·25 전쟁 57주년 기념 시민대회’에 참석한 보수단체 회원 60~70대 노인 2천여명을 몇십대의 관광버스에 태워 파업 반대집회가열린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으로 실어 날랐다. 이날 집회엔 ㅇ대 동아리 회원 20여명도 참석했다.
정민영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홍보2부장은 “행울협은 순수한 시민단체가 아니라 파업 혐오증을 지닌 보수단체로 26일 집회는 회사의 비호 아래 열린 관제데모임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현대자동차 쪽은 “행울협 집회가 예정돼 있는지는 몰랐다”고 해명했다. 울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집회 경비 내역은 대답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