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돌입 예정
1998년 유동성 위기로 부도가 난 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법정관리를 하고 있는 울산 온산공단 동해펄프가 파업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노총 전국화학노련 산하 동해펄프 노조는 회사가 임금·단체협상에 성실히 임하지 않아 조합원 200여명이 21일 아침 7시부터 전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회사 노사는 5월22일 올해 임금·단체협상 상견례를 한 뒤 이달 14일까지 9차례에 걸쳐 교섭을 열었으나 노조 요구안인 △2005년 삭감 상여금 400%와 학자금 50% 원상 회복 △기본급 대비 9.3% 임금 인상을 놓고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에 노조는 이달 2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기간 만료를 거쳐 이달 6일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5.8%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한 뒤 다음날부터 20여명의 간부들이 파업을 벌여왔다.
회사와 채권단은 “노조의 요구안을 수용하면 연간 100억원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해 경영 정상화가 어렵게 되고, 법정관리기업의 이미지 실추와 함께 현재 경영 정상화를 위해 추진중인 기업 매각 절차에도 타격을 주게 된다”며 파업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권대환 노조위원장은 “2005년 정원의 25%를 감원하는 등 고통을 분담하며 지난해 420억원의 흑자를 냈을 때 채권단에서 파견한 관리인이 2005년 삭감한 임금 회복을 약속했는데 아무런 조처가 없었다”며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것인데 회사가 임금 인상 논리를 펴며 정당한 노조의 파업을 비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74년 설립된 이 회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종이원료인 화학펄프를 생산해 한솔제지 등 국내 종이 제조업체에 전체 화학펄프 수요량의 20% 가량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파업이 길어지면 국내 종이 제조업체들이 비싼 가격에 화학펄프를 수입해야 하는 등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