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정보교환 안되고 무로 안내기 설치 5%뿐
서울시와 경기도가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해 도입한 ‘시내버스 도착 시간 안내 서비스’가 교통정보에 대한 상호 호환이 안돼 ‘반쪽’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 버스정류소에서 버스 도착 시간 등을 알려주는 버스 안내기는 태부족인 상태에서 휴대폰과 일반전화로 정보를 받게 해 매년 수십억원의 정보통신이용료를 버스 이용자가 부담하고 있다.
지난 18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간 경기도의 시내버스 도착 시간 안내 서비스를 20일 확인해 보니, 경기도에서 서울을 오가는 버스 중 경기도에 주소지를 둔 광역버스에만 가능하고 서울에 소재를 두고 서울에서 경기도를 오가는 서울지역 업체의 광역버스에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다. 현재 서울∼경기도를 오가는 광역버스는 경기지역 업체의 경우 270개 노선에 3512대, 서울지역 업체의 경우 95개 노선에 2024대가 운영 중이다. 이같은 ‘반쪽 운영’은 서울시와 경기도가 서로 다른 시내버스 도착시간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버스 정보를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기지국을 따로 만드는 무선데이터방식을 채택했으나, 경기도는 기존 휴대폰 기지국을 이용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을 채택해 양쪽 시·도간에 버스 정보를 주고 받는 게 불가능하다.
더욱이 버스 이용자는 버스 도착 시간 안내 등의 정보를 얻으려면 개별적으로 정보통신이용료를 내고 휴대폰과 일반전화(ARS)로 정보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정작 버스정류소에서 무료로 버스 도착시간을 알려주는 버스 안내기의 경우 경기도 전체 정류소 2만2800곳 중 5%인 1160여곳에만 설치돼 있다. 서울시도 비슨한 수준이다.
서울시가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홍재형 의원(충북 청주 상당)에게 낸 자료를 보면, 버스 안내기는 서울시내 전체 정류소 6500여곳 중 6곳에만 설치됐다. 반면 서울시의 경우 일반전화로 버스 이용 정보를 문의한 건수는 2004년 6월 한달 동안 1157건에서 지난 8월 한달 동안 152만4801건으로 폭증했다. 이에 따라 버스 이용정보를 위한 일반전화 1회 평균 통화시간을 1분으로 추정할 경우 서울에서만 하루 500만원씩 연간 18억원의 정보통신이용료가 빠져 나가는 셈이다. 이 때문에 ‘생색은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내고 돈은 정작 주민들의 호주머니에서 빠져 나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서울과 경기 버스간 호환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일러도 1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버스 안내기 값이 대당 1천만원 이상이어서 장기적으로 확충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