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 사육농가
진안군 신축허가 1년새 32곳…500m앞 양계장도
수질오염 ‘빨간불’…시민단체 “보호구역 지정해야”
수질오염 ‘빨간불’…시민단체 “보호구역 지정해야”
전북지역 최대 상수원인 진안군 용담댐 상류에 닭 축사가 무더기로 들어서고 있어 수질 오염이 우려된다.
전북도와 진안군은 최근 한해 동안 용담댐 상류에 신축 허가가 난 축사는 진안읍 물곡리, 부귀면 두남리·신정리, 마령면 덕천리 등 모두 32건(면적 3만5천㎡)으로 46만8천마리의 닭이 사육되거나 사육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진안군은 소득증대를 위해 2011년까지 가구당 7만마리 이상의 대규모 육계 사육농가 26곳을 추가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들 축사는 상수원보호구역에는 들어설 수 없는 시설이지만, 용담댐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아 법적으로 규제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전북도와 진안군은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려고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대신, 주민과의 협약을 통해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해왔다.
현재 용담댐은 수변구역(1㎞이내)에서만 축사 신축 등을 제재할 수 있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면 호수를 중심으로 최대 4㎞ 이내에는 축사 신축이 법으로 금지된다.
진안읍 물곡리 배아무개씨 축사는 용담댐 수변구역에서 직선거리 0.5㎞, 유하거리(물이 흐르는 거리) 2㎞에 불과한 실정이다.
김진태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축사 등이 들어서면 용담댐의 수질오염이 불가피한 만큼, 이른 시일 안에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덕 전북도 수질보전과장은 “축사 허가를 받은 4곳 가운데, 물곡리와 부귀면 등 2곳만 금강 수계에 있고, 나머지는 섬진강 수계로 용담댐의 오염 우려가 적지만, 앞으로를 대비해 진안군에 오염방지 대책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말했다.
진안군은 “폐수처리 시설 등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확보했기 때문에 수질오염은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허가 배경을 설명했다.
2001년 10월 완공된 용담댐은 높이 70m, 길이 498m, 총 저수용량 8억1500만t으로 국내에서 다섯 번째 규모다. 용담댐은 전북 전주·익산·군산·김제·완주와 충남 서천 등 6곳 지자체(80여만명)에 하루 40만t 가량의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