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청원 통합 추진 일지
2005년 주민투표 반대 효력 2년 지나자
청주·청원 통합 논의가 다시 물 위로 떠오르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은 2005년 9월29일 통합 찬반 주민투표에서 청주 쪽의 압도적인 지지(91.3%)에도 청원 주민의 과반 이상 반대(53.5%)로 무산됐다.
주민투표로 확정된 것은 2년 안에 새로운 결정을 내리거나 변경할 수 없다는 주민투표법 규정에 따라 2년 동안 잠자고 있던 통합 논의가 최근 정치권·시민단체·학계 등에서 잇따라 나오고 있다.
대통합 민주신당 노영민 의원은 2일 “엄청난 지역 발전 가능성에도 2년 전 일부 오해와 진행 미숙 등으로 주민 동의를 구하는 데 실패했다”며 “청주·청원 통합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작업을 제안한다”며 통합 논의 불을 지폈다.
한국지방자치학회는 12일 충청대학에서 열리는 추계 기획 세미나에서 청주·청원 통합 문제를 다룰 계획이다.
남기헌(충청대 교수)충청지방자치학회장은 “청주·청원 통합 과정에서 생긴 주요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 자치단체 통합 문제를 토론할 계획”이라며 “학술회의에서 통합의 당위성과 통합 과정의 갈등 원인을 찾고 시군 통합의 새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15일 열리는 청주·청원 광역도시권 발전전략 토론회에서도 청주·청원 통합이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성훈 청주시의원은 “달걀의 노른자 격인 청주와 그를 둘러싼 흰자격인 청원은 지리적, 역사적, 환경적으로 나뉠 수 없다”며 “광역도시 차원에서 공동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말처럼 청주는 중앙, 청원은 그 둘레를 에워싸는 특이한 형태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통합에 반대했던 청원군의 생각은 다르다. 군은 지난 7월 ‘대한민국 행복 1번지 청원-인덱스 2015’계획에서 “2015년 23만명으로 불어 난 인구 등을 발판으로 자연스럽게 시로 승격할 것”이라며 자체 시 승격에 무게를 두고 있다. 오송·오창산업단지 조성과 오창읍 승격 등으로 2005년 1월 11만여명이던 인구가 지난 8월말 14만1676명으로 빠르게 늘고 있어 무리한 관측도 아니다. 부용·강내면 일부 지역이 행정중심 복합도시(세종시)에 편입되고, 오창읍이 자체 시 승격 추진을 할 지가 변수다. 윤석만 청원군 행정과장은 “주민들의 뜻에 따라 통합이 무산됐고, 2년 동안 상황이 바뀌지 않은 데다 다시 투표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아 통합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그의 말처럼 청주는 중앙, 청원은 그 둘레를 에워싸는 특이한 형태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통합에 반대했던 청원군의 생각은 다르다. 군은 지난 7월 ‘대한민국 행복 1번지 청원-인덱스 2015’계획에서 “2015년 23만명으로 불어 난 인구 등을 발판으로 자연스럽게 시로 승격할 것”이라며 자체 시 승격에 무게를 두고 있다. 오송·오창산업단지 조성과 오창읍 승격 등으로 2005년 1월 11만여명이던 인구가 지난 8월말 14만1676명으로 빠르게 늘고 있어 무리한 관측도 아니다. 부용·강내면 일부 지역이 행정중심 복합도시(세종시)에 편입되고, 오창읍이 자체 시 승격 추진을 할 지가 변수다. 윤석만 청원군 행정과장은 “주민들의 뜻에 따라 통합이 무산됐고, 2년 동안 상황이 바뀌지 않은 데다 다시 투표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아 통합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