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환경청이 식목일은 제쳐놓고 평일에 일손을 놓은 채 대대적인 나무심기 행사를 벌이며 비상연락망도 제대로 갖춰놓지 않아 빈축을 사고 있다.
식목일을 하루 앞둔 지난 4일, 낙동강유역환경청 직원 60여명은 각 과별로 당직자 1명씩만 남기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경남 산청군 단성면의 공장 빈터에 나무를 심었다. 다른 조 60여명도 오후 1~4시 창원 청사 건물 안의 화단을 가꿨다.
부산·울산·경남의 39개 시·군·구와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소속 54개 시·군·구의 환경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120여명의 직원들이 교대로 자리를 비운 것이다. 특히 오후 1~3시 2시간 동안은 당직자를 빼곤 모두 자리를 비워 마치 공휴일을 연상케 했다.
식목일을 공휴일로 정한 것은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많은 사람이 나무심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다. 이 때문에 대다수 자치단체들은 업무 부담이 적은 토요일이나 휴일에 나무심기 행사를 벌인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000만명이 넘는 영남 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의 안전을 24시간 감시하고 이 지역의 육·해·공에서 일어날지 모르는 환경오염 사고를 책임지는 특수기관이다. 이런 기관에서 직원 절반이 평일 오전에 자리를 비우고 오후엔 2시간 동안 당직자를 빼고 모두 자리를 비웠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도 이 과정에서 직원 비상연락망은 제대로 갖춰졌는지 의구심도 지울 수 없다. 이날 오전 울산 북구청의 태화강 하류 철새도래지 골재 채취 허가과정이 석연치 않아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사전 환경성 검토를 제대로 했는지 확인하려 담당자와 전화를 연결하는데 2시간이나 걸렸다.
담당과의 당직자는 “담당자의 휴대전화 번호를 모르니 언론담당과에 문의를 하라”고 했고 언론담당과 직원도 “담당과 직원이 모르는데 우리과 직원이 안다는게 이상하지 않느냐”며 모르쇠로 일관했다.
총무과 직원은 “최근 인사가 나 새로 온 직원들이 비상연락망을 모르고 있었다”고 해명을 했지만, 만약 이날 대형 사고가 일어났다면 어떻게 됐을지 생각하면 옹색한 변명으로밖에 들리지 않았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