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개발·공동어로 등 합의사업 수혜 기대
도, 경기북부 발전 구상·대북사업단 구성 추진
도, 경기북부 발전 구상·대북사업단 구성 추진
“한강 하구의 골재 채취는 우리가 먼저!”
인천시와 경기도는 남북 정상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와 한강하구 공동개발 등 주요 합의안이 지역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크게 반기고 있다. 경기도는 특히 남북교류협력기금을 늘리고 대북협력사업단 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 인천시=안상수 시장은 지난 4일 “(남북정상회담이) 대체로 잘 된게 아닌가 싶다”며 “(이번 회담으로) 가장 혜택받는 도시는 인천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인천시는 특히 공동어로구역과 평화수역 설정, 민간선박의 해주 직항로 통과, 한강하구 공동이용 문제가 시와 직접적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화군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가 설치되면 강화군이 핵심 거점도시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다. 강화군은 또 이미 정부에 한강 하구 모래 채취 사업 참여를 요구한 상태다.
전국 항만 중 가장 많은 대북 물동량을 취급하는 인천항은 해주항과 가장 가까운 지리적 이점 때문에 해주경제특구 조성단계에서부터 많은 물동량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2006년 인천항의 대북 컨테이너 물동량은 7945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로 2005년의 6271TEU에 비해 26.7% 늘어났고, 인천항의 대북 물동량은 전체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 경기도=김문수 지사는 5일 차영구 남북포럼위원장 등 북한전문가를 초청해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열고 현재 200억원인 남북교류기금 확대 및 남북교류협력사업단 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현재 3명의 공무원으로 하는 남북교류계로는 앞으로 늘어날 남북교류사업을 감당할 수 없다”며 “사업단으로 격상한 뒤 2청에서 주관해 교류협력사업을 맡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날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을 토대로 11개의 사업 구상을 제기하고 골재채취 등 한강하구 공동개발사업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 경기북부지역 종합발전 구상을 다시 짜고 현재 서울-문산간 고속도로를 개성-평양을 잇는 도로와 연결하기 위해 조기 개통을 정부에 요구하기로 했다.
양진철 정책기획심의관은 “도가 건의한 9개 항목 중 한강하구 공동개발과 서울-평양을 잇는 국도 1호선의 복구, 경의선 열차의 개성 운행 등 3개 항목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한강하구 공동개발의 경우 한강과 예성강, 임진강 등 한강하구에 수도권에 필요한 연간 골재 채취량 4500만㎥의 24배에 이르는 10억㎥의 골재가 매장돼 있다.
김영환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