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납골시설 예정터
도 “사업성 없다” 포기…건교부, 강행 의지
성남시, 입주예정자 반발 업고 백지화 요구
성남시, 입주예정자 반발 업고 백지화 요구
새도시 주민 입주 전 설치해 민원 소지를 없애려던 판교의 대규모 납골시설을 놓고 진통이 예상된다. 경기도는 사업비를 핑계로 애초 추진하던 납골시설을 백지화했고, 건교부는 별다른 대책 없이 강행만 주장하고 있는 반면, 성남시는 물론 판교 입주예정자들까지 납골시설 설치를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 건교부 “계획대로 강행” =경기도는 판교 개발계획 발표 직후 판교 동쪽 공원 안 1만6500여㎡ 지하에 2008년까지 5만기의 봉안시설을 만들고 그 위에는 추모공원을 짓는 ‘판교 메모리얼 파크’를 추진했다. 도는 이 땅을 무상 제공 받아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건설과 운영을 맡기려 했다. 그러나 지난 해 4월 법제처는 “납골시설은 공공시설로 볼 수 없어 (건교부의) 무상 제공은 안된다”고 유권해석을 내렸다. 결국 도는 “부지 매입에만 500억이 들어가면 사업성이 없다”며 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그러나 건교부는 지금까지 메모리얼 파크 예정지는 납골시설 용도로 지정·승인된 만큼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자세를 굽히지 않고 있다. 건교부 신도시기획팀 한 관계자는 330만㎡ 이상의 택지개발지구에는 납골시설이 의무화돼 있다며 “판교에도 어떤 형태로든 장사시설을 설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건교부는 아직까지 구체적 일정이나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 성남시 “백지화” 요구 =성남시는 ‘장사시설 과잉 공급’은 물론 판교 입주예정자들의 반발 여론을 등에 업고 판교 장사시설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시는 1996년부터 이미 1만6762기의 납골당이 운영 중이고, 2010년까지 5만기를 더 봉안 할 수 있도록 확장사업을 추진 중이기 때문에 “판교 안에는 더 이상 장사시설이 필요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는 또 “이른바 ‘혐오시설’은 1개 자치단체에 1곳이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해 분양된 35개 단지 가운데 27개 단지 입주예정자 대표들이 참여한 ‘판교신도시 입주자 예정자 연합회’는 지난 6월 창립식에서 “납골당을 판교 한복판에 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납골당 철회 운동 의지를 확인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