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내 우리말 파수꾼…교육·전시 3년반 훌쩍
충북 청주시 영동에 자리잡은 ‘한글 사랑관’이 한글을 바로 알고, 쓰는 길라잡이 노릇을 하고 있다.
2004년 3월 문을 연 한글 사랑관은 올해 상반기에만 1400여명의 학생들이 찾아 한글 체험 학습을 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려고 지난 3월 연 한글사랑 사이버 글짓기 대회에 580여명이 참여했으며, 지난 7월 우리글 바로 알기 한글사랑 교실에도 70여명이 찾아 교육을 받았다.
한글 사랑관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등 한글 고서 자료 109점, 교과서 480점, 국어 사전 148점, 한글 관련 도서 자료 476점, 기초·기본 학력 지도 자료 203점 등 28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1전시관에는 세계의 문자, 한글의 창제·역사·교과서 변천사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인터넷 누리꾼의 줄임말과 국적 불명의 합성어 등을 표준어로 고쳐 전시하고 있으며, 틈이 벌어지고 있는 남·북한말 등도 알기 쉽게 정리해 두고 있다.
한글 사랑관은 전시에만 머물지 않는다.
제대로 된 한글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어린이들을 찾아 올바른 한글 쓰기를 가르치는 ‘찾아가는 한글 사랑관’을 운영하고 있다.
찾아 가는 한글 사랑관은 지금까지 제천·음성·충주지역 초등학교 21곳에서 4500여명에게 한글을 가르쳤다. 한글 사랑관이 다달이 내는 소식지 <한글사랑>도 한글 교육에 한 몫하고 있다.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생활 속 한글 제대로 쓰기’, ‘반드시 바꿔써야 할 우리말 속 일본말’, ‘우리말 다듬기’,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등의 글을 읽으면서 쉽게 바른 한글을 익힐 수 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찾아 가는 한글 사랑관은 지금까지 제천·음성·충주지역 초등학교 21곳에서 4500여명에게 한글을 가르쳤다. 한글 사랑관이 다달이 내는 소식지 <한글사랑>도 한글 교육에 한 몫하고 있다.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생활 속 한글 제대로 쓰기’, ‘반드시 바꿔써야 할 우리말 속 일본말’, ‘우리말 다듬기’,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등의 글을 읽으면서 쉽게 바른 한글을 익힐 수 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