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 수익사업 낙찰…“모든 업체와 협력할 순 없어”
탈락업체들 “기업 이익 대변·비영리법인 본분 망각”
탈락업체들 “기업 이익 대변·비영리법인 본분 망각”
지역업체 이해를 대변해야 할 전북 전주상공회의소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직접 뛰어들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전북 무주군은 9천여만원이 들어갈 ‘반딧불농특산물 전자상거래장터 구축사업’ 대상자로, 한 아이티(IT) 전문업체와 컨소시엄을 맺어 참가한 전주상공회의소를 이달 초 결정했다.
전주상공회의소와 경쟁했던 다른 업체들은 “상공회의소가 지역 중소업체의 몫을 빼앗으려는 행태”라며 반발하고 있다. 정훈(36)씨는 “업체의 복리증진에 나서야 할 비영리법인 상공회의소가 특정업체와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한 것은 본분을 망각한 행위”라며 “지역 중소업체가 공정한 경쟁에 나설 수 있게 해달라”고 촉구했다.
소관부처인 산업자원부는 이에 대해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했으나, 상공회의소가 응찰자격이 있다는 쪽과 없다는 쪽으로 견해가 양분돼 법제처에 유권해석을 맡기기로 최근 결정했다.
대전상공회의소 쪽은 “개별사업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전은 공익과 비영리라는 설립 목적에 따라 판단한다”며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등의 업무를 대행해 지역업체의 부담을 줄여주는 사업을 진행할 뿐”이라고 밝혔다.
전주상공회의소는 “공익적 쇼핑몰을 운영한 경험을 살려서 해당업체와 함께,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마케팅사업에 자격을 갖춰 참여한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여러 중소업체 모두와 파트너가 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해명했다.
전주상공회의소는 또 “해당업체와 역할분담을 한 형태여서 지금와서 포기할 수 없는 처지”라고 설명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