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된 청사 좁다며 시비·차입 등으로 건축 계획
시 “자립도 가장 낮고 임대·증축 가능한데” 난색
시 “자립도 가장 낮고 임대·증축 가능한데” 난색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 직원 월급도 겨우 주고 있는 울산 중구청이 20여년 된 현 청사를 팔고 새 청사를 건립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울산 중구청은 17일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1만789㎡ 규모인 현 복산동 청사가 비좁아 496억여원의 사업비를 들여 혁신도시가 들어설 우정동 택지개발지구(279만7067㎡) 안 공공용지 터 3만2020㎡에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1만5000㎡ 규모의 새 청사를 2015년까지 짓는 계획안을 곧 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구청은 내년 초 신청사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맡기고 주민 공청회를 연 뒤 본격 추진에 나설 예정인데, 496억원의 사업비 가운데 198억원은 현 청사를 팔아 확보하고 166억원은 한국지방재정공제회로부터 ‘연 3% 이자에 2년 거치 10년 균등상환’ 조건으로 차입할 계획이다. 나머지 150여억원은 시비와 청사건립기금 등을 통해 충당할 방침이다.
하지만 울산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구청의 재정 자립도가 시 산하 5개 구·군 가운데 가장 낮은 18.7%이고 가용 재원(경상경비와 법적 부담금을 빼고 독자적으로 집행가능한 재원)이 한 푼도 없는 상황에서 새 청사 건립이 무리라는 것이다.(?5s표)
시 기획관리실의 한 간부는 “30~40년된 청사를 쓰고 있는 자치단체들이 수두룩한데 자생 능력이 없는 중구청이 20여년이 된 현 청사(1990년 건립)를 팔고 새 청사를 짓겠다고 하는 발상 자체가 이해 되지 않는다”며 “민간 건물을 임대해 쓰거나 증축을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박억렬 중구청 총무과장은 “건물 자체가 증축이 어려운 구조이고 비행 고도제한지역이어서 새 청사를 짓기로 했다”며 “시가 2001년 완공된 북구청사 건립비 전액(300억원)을 지원한 예가 있으므로 시비 지원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