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장 이전’ 주민 반발 부딪혀 사실상 포기
‘하류 준설작업’도 백지화…수질은 계속 악화
‘하류 준설작업’도 백지화…수질은 계속 악화
수도권 주민 2300만명의 식수원인 팔당상수원 수질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는 김문수 경기지사의 맑은 물 공급 정책이 오락가락하고 있다. 취임 직후 팔당호를 준설하겠다고 나섰다가 백지화한 데 이어 최근 팔당취수장 이전 방안을 밝혔다가 주민들 반발이 거세자 한발 빼는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팔당호 수질은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지사는 지난 22일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팔당 상수원의 이전에 대해 “(가평군 등) 해당 지역의 반발이 심해 협의하겠다”며 사실상 중단의사를 밝혔다. 김 지사는 “경기개발연구원의 취수원 이전 연구도 중단시켰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발언은 최근 “팔당 취수장을 청평호 등 북한강 상류로 옮기는 안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가 지역 주민들의 반발하자 사실상 포기의사를 밝힌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지난해 6월에는 도지사 당선자 자격으로 팔당호를 돌아보고 “경안천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하류지역인 서하보~광동교 4㎞에 대해 1천억원을 들여 준설작업을 하고 우선 3억원을 들여 타당성 조사를 벌이겠다”는 ‘깜짝 발표’를 했다.
그러나 이같은 준설계획은 경기도가 2004년 8억5천만원을 들여 경기개발연구원에 맡긴 ‘팔당 상수원 수질 개선’ 보고서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조건을 바꾸지 않는 한 준설효과는 없다”는 결론이 이미 내려진 상태였다.
전문가들의 지적이 빗발치자 김 지사는 지난해 9월 팔당 대책 발표시 “수질 악화 우려가 많아 밀어놨다”고 밝혔다. 이처럼 1년6개월여만에 김 지사의 팔당상수원 대책이 오락가락하자 너무 즉흥적으로 팔당 상수원 정책을 발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경기환경운동연합 안명균 사무처장은 “김 지사가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해 환경부 등과 협조와 오염원 해결 등 수질을 중심에 놓고 근본적인 노력을 하기보다는 상수원 주변지역의 규제범위를 줄이려는 생각이 앞선 결과”라며 “참으로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말했다.
팔당상수원은 현재 15곳의 취수장에서 수도권 주민들이 먹을 하루 773만t의 물을 취수한다. 환경부가 이 중 7곳의 취수장이 몰려있는 팔당대교 아래 수질 조사 내용(표)을 보면 올해 수질은 지난해와 별 차이가 없고 5년 전 보다는 더 나빠졌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